논리 풍수학 음택

풍수용어 ㄱ

수맥박사 2013. 8. 16. 16:22
풍수용어 ㄱ

가제인제(家齊人齊)
살림도 부족함이 없고 후손도 부족함이 없다.
각구일태극(各具一太極)
어느 한 공간을 작은 소우주(小宇宙)로 보는 공간개념(空間槪念)으로, 그 공간의 중심점에서 팔괘를
골고루 분포시켜 전체를 하나의 태극, 즉 소우주로 판단하고 그 공간 각 부분의 길흉을 가늠하는 것
이다.
간룡(幹龍)
사람의 척추와 같이 산맥의 큰 산에서 혈을 향해 뻗어 내린 산줄기의중심 용맥을 말한다.
간룡법(幹龍法)
산의 모양새를 가지고 형세와 용의 길흉을 살피는 방법. 생기발랄하고 상하기복, 좌우 요동이 힘차
게 꿈틀 거려야 좋은 용이다.
간산(看山)
용, 혈, 사, 수, 향을 살펴서 찾거나, 확인하기 위해서 산을 오르는 것을 말한다.
감결(監訣)
현장의 용, 혈, 사, 수, 향이 풍수 이론에 맞추어 길한지 혹은 흉한지 세심하게 살피거나, 확인하는 것
을 말한다.
갑계향중우견간(甲癸向中憂見艮)
갑향(甲向)이나 계향(癸向)을 하고서는 간방(艮方)을 유의하여 보라는 말로, 갑향(甲向)을 하고 간방
(艮方)으로 물이 소수 하거나 계(癸) 양향(養向)을 하고 간방(艮方)으로 물이 소수하면 살인황천(殺
人黃泉)이라는 말이다.
개각혈(開脚穴)
겸혈(鉗穴)과 같은 말이다. [겸혈참조]
개산(蓋山)
천심십도정혈(天心十道定穴)에서 혈 뒤에 위치한 산을 말한다.
개장(開帳)
장막을 연다는 뜻으로 용이 마치 새가 날개를 편 듯이, 혹은 병풍을 펼친 듯이, 좌우로 겹겹이 뻗어
내린 형세를 말한다. 개장이 좋으면 내룡의 생기가 왕성한 것으로 본다.
개혈(開穴)
혈을 연다는 뜻으로 보통은 시신을 안장하기 위해 땅을 파는 행위를 말한다. 개혈하면 땅 속으로 바
람이 들어가 생기가 흩어지므로 유념해야 한다.
거문성(巨門星)
음양오행상 토(土)에 속하며 방체(方體), 겸혈(鉗穴)을 뜻한다. 천의제왕(天醫帝王)의 궁(宮)으로 좌
우의 보필이 있어서 돕는다. 총명, 귀(貴), 수(壽), 재물(財物)을 관장한다.
거문수(巨門水)
거문성은 북두칠성의 국자 부분 끝에서 두 번째 별이며, 이기론에서 각국의 쇠수(衰水)를 말한다.
거수(去水)
물이 빠져 나가는 것을 말한다. 일명 소수(消水)라고도 한다.
격정(格定)
내룡이 어느 방위에서 오고, 또 물의 파(破; 去水 방위)는 어느 방위로빠졌는가를 패철을 이용해 재
는 행위를 말한다.
격팔상생(隔八相生)
청오경(靑烏經)의 부경(附經)에 나오는 말로, 격팔육률법(隔八六律法)이라고도 한다. 이는 천간(天
干)은 천간끼리, 지지(地支)는 지지끼리 패철의 8번째가 상생(相生)이므로, 좌(坐)와 파(破) 그리고
득수(得水)를 여기에 맞추는 것이다. 예를 들어 파(破)가 임파(壬破)라면 임에서 우선(右旋)하여 천
간으로 8번째가 손(巽)이 되어 좌(坐)가 되고 다시 손에서 우선하여 8번째 천간 신(辛)에서 득수를 잡
는다는 혈파론(穴破論)이다 여기에서 손좌(巽坐)를 기준으로 좌선(左旋)하여 여섯 번째 천간이 신득
수(辛得水), 우선하여 여섯 번째 천간이 임파(壬破)가 된다. 지지(地支)도 마찬가지다.
견동토우(牽動土牛)
흙으로 만든 소가 끌어당긴다. 즉 보기에는 힘이 있어 보이나 힘을 쓸 수가 없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용호는 좋은데 안산(案山)이 없으면, 혈(穴)이 전면에서 불어오는 바람에 시달려 빈궁(貧窮)하
여 패절(敗絶)하는 경우 등이다.
결록(訣錄)
장지(葬地)나 묘(墓)의 좌향(坐向)을 무슨 사고(思考), 무슨 원리로 , 어떤 의도로, 어떤 상황에서 결
정 했는가를 글로 적은 것으로 풍수의품질 보증서이다.
결인(結咽)
내룡의 기운이 혈 앞에서 뭉쳐 톡 튀어 나오기 직전의 낮은 곳을 말한다. 쉽게 "목" 혹은 산맥의 마디
부분을 말하며 비슷한 말로 "과협(過峽)", "속기(束氣)"가 있다.
겸혈(鉗穴)
혈장의 모양을 가리키는 용어로, 와혈(窩穴)처럼 전체적인 생김새가 가운데 쪽으로 오목(凹)하게 들
어간 음혈(陰穴)이다. 일명 개각혈(開脚穴)이라 하며 두 개의 지각(支脚)이 다리를 벌리고 다리 사이
에 혈장을 받쳐 든 형상이다.
경락(經絡)
경맥(經脈)과 낙맥(絡脈)으로 나뉘어 지며 사람의 몸에 거미줄처럼 엉켜져 기(氣)가 순행하는 통로
이다. 보통 침을 놓는 자리로 경맥은 기가 흘러 다니는 주요 통로고, 낙맥은 경맥을 상호 연결시키는
통로이다. 풍수에서는 간룡(幹龍)과 지룡(枝龍)의 관계로 설명된다.
계수즉지(界水則止)
장경(葬經)에 나오는 말로, 생기(生氣)는 용맥(龍脈)을 따라 흐르다가 수계(水界)를 만나면 멈춘다는
말로, 생기가 멈추어야 혈(穴)이 맺힌다.
고궤사(庫櫃砂)
산의 모양이 장방형의 토산(土山) 같은 것을 말하며, 풍수에서는 곡식을 가득히 쌓아놓은 산이라 하
여 부자가 난다고 한다.
고봉(誥封)
오품 이상의 문무관이 토지나 직위를 받을 때 본인이 받는 것을 고수(誥授), 생존중인 증조부모, 조
부모, 부모, 아내에게 하사하는 것을 고봉(誥封), 죽은 사람에게 주는 것을 고증(誥贈)이라 한다.
곡장(曲墻)
팔요풍이나 음풍으로부터 묘를 보호하기 위하여 묘 주위를 감싸는 담을 말한다.
공력지구(工力之具)
장경(葬經)에 나오는 말로, 눈(目)이 아닌 기구(器具) 즉 패철을 이용하여 정확하게 혈(穴)을 잡고 좌
향(坐向), 분금(分金)등을 설정(設定)하는 것을 말한다.
과교(過交)
때가 지나버린 것을 말한다. 서리는 8~9월에 와야 곡식이 잘 익는데 10~11월에 와 곡식이 제때에 결
실을 맺지 못하는 상태이다. 이기론 상으로 물이 제 방위를 지나서 소수하니 자연이 올바로 순환되
지 못한 상태이다.
과궁수(過宮水)
물이 빠져 나갈 곳을 지나친 것을 말한다. 즉 고(庫)를 지나서 물이 나가는 것을 말한다. 태공(太公)
이 팔십 살에 문왕(文王)을 만난 격이다.
과산(過山)
내룡을 타고 흐르는 생기가 멈추거나 응결되지 못한 채 그냥 흘러가는 산을 말한다.
과협(過峽)
산과 산을 잇는 산줄기 부분에 벌의 허리와 학의 무릎처럼(봉요학슬; 蜂腰鶴膝) 잘록한 부분을 가리
키며 보통 "ㅇㅇ고개"라고 부르는 곳이다. 과협은 산과 산 사이의 생기를 이어주며, 과협이 좋아야 내
룡의 생기가 충만하다고 본다. 과일의 꼭지와 같은 역할을 한다.
관대(冠帶)
12포태법에서 성년을 향해 자라나는 길한 상태이다. 사람의 일생 가운데 글도 배우고 문장도 익히는
청소년기에 해당한다.
관란(關欄)
수구(水口)를 막아주는 것, 또는 용호(龍虎)가 수구를 감싸 안는 것을 말한다.
관성(官星)
조산(朝山)과 안산(案山)의 배후에서 혈을 보호해 주는 귀사(貴砂)로 대귀(大貴)를 기약한다.
관쇄(關鎖)
청룡과 백호가 좌우에서 서로 끝 부분을 맞잡거나 한쪽이 다른 쪽을 감싸 안아 물이 빠지는 곳이 좁
아진 상태를 말한다. 배 한척이 지나가지 못할 정도로 관쇄가 되면 매우 길하다고 본다.
광중(壙中)
시신을 묻는 구덩이를 가리키며, 보통은 무덤 속을 말한다.
괴혈(怪穴)
명당이 갖추어야 할 제반 자연조건을 갖추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생기가 응결된 장소이다. 주로 돌
로 이루어진 악산에 사람 한 구를 묻을 만한 흙이 있거나, 깊은 산 속에 물이 고인 늪이 있으면 그 위
에 괴혈이있다고 한다. 괴혈은 발복이 빠르고 강력하여 어떤 풍수가는 괴혈만 찾아 산 속을 헤맨다.
교여불급1(交如不及)
수구(水口)가 포태법상 묘방(墓方)까지 가지 못하니, 열매가 제철이 되기 전에 익어버리는 상태이
다. 후손이 각종 질병에 시달리며 남자의 목숨이 짧아 과부가 한 집안에 세 명 꼴은 되고, 세월이 흐
르면 먼저 셋째 아들이 그 다음은 둘째가 그 다음은 장남의 후손이 끊어진다.
교여불급2(交如不及)
향상(向上)으로 왕향(旺向)을 하고 물이 고(庫)인 묘방(墓方)까지 못하고 병방(病方)이나 사방(死方)
으로 빠져버리는 경우를 말하며, 단명(短命)하고 재물(財物)은 패(敗)하여 절사(絶嗣)한다.
구곡수(九曲水)
물이 혈의 앞쪽에서 마치 뱀이 지나가듯 굽이굽이 돌아서 흘러가는 모양새이다. 돈이 남아돌고 의식
이 풍족해 진다.
구만선(具萬饍)
장경(葬經)에 나오는 말로, 온갖 반찬이 다 갖춰진 상(床)같은 형상을 말한다.
구빈황천(救貧黃泉)
금(金), 목(木), 수(水), 화(火) 사국(四局)의 생방(生方)이나 왕방(旺方)에서 물이 흘러와 생방이나 왕
방에서 합수(合水)하여 묘방(墓方)이나 절방(絶方)으로 나가는 수(水)로, 가난을 구제하고 부귀(富
貴)해 지는 길(吉)한 수법(水法)을 말한다.
구성(九星)
북두칠성의 국자 끝에서부터 시작하여 그 첫 번째가 탐랑성(貪狼星),거문성(巨門星), 녹존성(祿存
星), 문곡성(文曲星), 염정성(廉貞星), 무곡성(武曲星), 파군성(破軍星)이고 손잡이 좌(左)로 좌보성
(左輔星)우(右)로 우필성(右弼星)을 일컬어 구성이라 한다. 이는 다시 오행으로 분류하면 탐랑성은
목(木), 거문성, 녹존성, 좌보성은 토(土), 문곡성은 수(水), 염정성은 화(火), 무곡성, 파군성, 우필성
은 금(金)이다.
구첨(毬?)
산이나 지형이 둥글게 솟아 오른 것을 말한다.
국(局)
혈을 둘러싼 자연 형세를 하나의 우주로 본 것이고, 혈은 그 우주의 중심에 해당한다.
귀(鬼)
영(靈)이 흩어져 승천(昇天)하지 못하고 남아 있는 것을 귀(鬼)라 한다.
귀룡(貴龍)
용맥이 겹겹으로 가지 치며 흘러 뻗고, 내룡이 웅장 하면서 생동감 있게 꿈틀거리는 형상을 말한다.
귀성(鬼星)
혈의 뒤쪽에서 베개와 같은 역할을 하는 귀사(貴砂)이다.
귀인(貴人)
주위의 길(吉)한 산봉우리들을 말한다.
규봉(窺峰)
일명 월견(越肩)이라고도 하며, 청룡과 백호 건너편에서 혈을 향해 언뜻 언뜻 넘겨다보는 산으로 마
치 구경꾼이 담장을 넘어 방 안을 들여다보는 형상이다. 후손 중에 도둑을 당하거나 소송 등으로 재
물을 잃는다.
금국(金局)
수구가 패철의 계축(癸丑), 간인(艮寅), 갑묘(甲卯)방, 즉 북동방에 있는 경우로 음양오행상 금국이
다. 가을에 해당하고 색깔은 백색이다.
금산(金山)
산 정상부분이 둥글둥글하게 생긴 산을 금산 혹은 금성산(金星山)이라 한다. 건(乾). 태(兌), 곤(坤)
방에 있어야 득지, 득위하여 재물이 크게불어난다.
금성(禽星)
수구 부분에 날짐승 모양의 바위들이 막고 선 것을 가리킨다. 금성이 수구를 막아 서 있으면 문관(文
官)이나 문인(文人)이 난다.
금성수(金星水)
혈 앞쪽을 마치 요대를 허리에 찬 것처럼 둥글게 감싸 안으며 흐르는 물줄기를 말한다. 혈 앞을 흐르
는 물중에서 가장 귀하며, 부귀하고 세상의 존경을 받고 충효현랑(忠孝賢郞)하며 의(義)로운 인물과
호남아(好男兒)가 태어난다.
금어(金魚)
당(唐)나라 때는 어부(魚符)라고 불렀으며 품계에 따라 금어와 은어를 패용했으며 송(宋)나라 때는
물고기 모양에 관명(官名)을 기록한 것을 둘로 나누어 하나는 궁궐에 두고, 하나는 자신이 가지고 있
다가 궁궐 출입시 신분을 확인하는데 이용 하였다.
금어수(金魚水)
물이 혈의 양쪽 골짜기에서 흘러나와 혈 앞에서 합쳐져 흘러가는 것을 말한다.
금정(金井)
광중을 파기 전에 혈(穴)처에 놓는 나무로 만든 우물정(井)자 모양의 틀을 말한다.
기고사(旗鼓砂)
깃발과 북 모양의 바위나 산을 말하며, 음양오행으로 목(木)산이며 무장(武將)이 난다.
기맥(氣脈)
생기가 흐르는 통로 즉 산줄기를 말하며 용맥(龍脈)과 비슷한 말이다.
기신(期?)
100세. 백 살 먹은 노인.

'논리 풍수학 음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풍수용어 ㄷ  (0) 2013.08.16
풍수용어 ㄴ  (0) 2013.08.16
제초제  (0) 2013.06.29
용상팔살  (0) 2013.05.16
나경패철 각층의 사용 방법  (0) 2013.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