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장 나경패철론(羅經佩鐵論)
1. 나경패철의 개요 (羅經佩鐵의 槪要)
나경(羅經)은『포라만상(包羅萬象) 경륜천지(經倫天地)』에서『나(羅)』자와 『경(經)』자를 따와 붙여진 이름이다. 포라만상은 우주의 삼라만상을 포함한다는 뜻이고, 경륜천지는 하늘과 땅의 이치를 다스린다는 뜻이다. |
2. 나경패철의 구성 (羅經佩鐵의 槪要)
우주천체가 원이듯이 나경패철도 원형으로 되어 있다. 우주의 근원이 태극에 있으므로 나경의 원리도 태극을 바탕으로 한다. 태극은 음양으로 나누어지는데 나경패철의 한가운데 원으로 된 부분이 태극이다. 남북을 가르치는 자침은 음양을 뜻한다. 태극은 후천팔괘를 표시하였다. |
3. 나경패철로 방위를 측정하는 방법
(1) 정반정침 (正盤正針)
묘지나 택지 또는 건물의 측정하고자 하는 곳에 먼저 나경패철을 수평으로 놓는다. 그 다음에 원가운데 있는 자침이 자오선(子午線)과 일치하도록 조절한다. 보통 나경패철의 자침은 북쪽을 가리키는 곳에 구멍을 뚫어 놓았거나, 빨강 색으로 칠해 놓았다. 또 자오선에 선을 그려 놓아 자침을 일치시키는데 편리하도록 하였다. |
(2) 측정방법 (測定方法)
1) 음택지의 측정
묘지에서의 측정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 경우로 나뉜다. 기존의 묘가 있는 곳에서는 묘 앞이나 상석 중앙에 나경패철을 정반정침 한다. 새로운 자리는 묘지의 혈심처 중앙에 정반정침한다. |
2) 양택의 측정
양택의 측정은 대지 중심점 혹은 건물의 중앙에 나경패철을 정반정침한다. 다음 대지와 건물의 형평을 참작하여 기두(起頭)를 설정한다. 기두는 단독 주택의 경우 건물의 무게 중심처다. 아파트나 사무실 등은 현관문이나 출입문이 된다. |
4. 각층의 사용법 (各層의 使用法)
(1) 제1층 팔요황천살 (八曜黃泉殺)
나경패철의 1층에는 진(辰), 인(寅), 신(申), 유(酉), 해(亥), 묘(卯), 사(巳), 오(午) 8칸으로 나누어 표시되어 있다. 이 8방향은 4층 지반정침의 방위에 대한 황천살(黃泉殺)을 뜻하는 것으로, 1층으로 방위를 측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4층에 있는 임자계(壬子癸) 3방위의 1층에는 진(辰)이 표시되어 있다. 임자계(壬子癸) 3방위는 진(辰) 방향으로부터 팔요황천살을 받는다는 표시다.
|
(2) 제2층 팔로사로황천살 (八路四路黃泉殺)
나경패철의 1층은 입수룡에 대한 황천살의 방위 표시였다면, 2층은 향(向)에 대한 황천살의 방위를 표시한 것이다. 나경패철 2층은 모두 24칸으로 나누어져 있으나 황천살을 가르치는 글자가 쓰여있는 곳은 12곳이다.
|
(3) 제3층 오행 (五行)
3층은 모두 24칸으로 나누어졌으나 목(木), 화(火), 금(金), 수(水) 오행은 4층의 12지지자(地支字) 위에만 표시되었다. 오행이라 함은 우주만상의 기본적 작용 이법이다. 목화토금수(木火土金水) 5가지이나 토는 중앙을 나타내므로 빠져있다.
|
(4) 제4층 지반정침 (地盤正針)
4층 지반정침은 천지의 방위를 나타내는 기본 층이다. 글자가 제일 크고 굵으며 24방위가 표시되어 있다. 4층 지반정침은 첫째 24방위의 정확한 위치를 측정하는데 사용한다. 둘째 입수룡을 비롯하여 용의 방위를 측정하는데 사용한다. 셋째 혈의 좌향(坐向)을 측정한다. 넷째 양택 가상(家相)의 방위 측정을 하는데 사용한다.
|
(5) 천산72룡 (穿山七十二龍)
나경패철의 5층은 천산72룡이다. 4층 지반정침의 24방위를 각각 3칸으로 나누어 모두 72칸으로 되어 있다. 1칸은 5도씩이다. 4층 지반정침 지지자 밑에는 3룡씩 60갑자(甲子)가 등재되어 있다. 8천간과 4유자 아래 중앙은 공칸으로 되어 있고, 좌우 양쪽에 2룡씩 갑자가 등재되어 있다. 모두 60갑자와 12개의 공란을 합쳐 72룡이라 한다.
|
(6) 제6층 인반중침 (人盤中針)
6층 인반중침은 혈 주변의 사격(砂格)의 방위를 측정하는데 사용한다. 모두 24방위가 배열되어 있는데, 4층 지반정침에 비해 반위(7.5도) 뒤쪽에 놓여있다. 시계 바늘 방향을 순행으로 볼 때 반대 방향으로 7.5도 뒤에 있다. 그 이유는 물은 양이기 때문에 반위 앞서고, 산은 음이기 때문에 7.5도 역행된 것이다. 24방위의 한 궁위는 15도다. |
(7) 제7층 투지60룡
7층은 4층 지반정침의 쌍산(雙山) 방위에 각각 5개룡씩 60갑자가 등재되어 있다. 1개의 투지룡은 6도다. 투지(透地)란 주산 현무봉에서 천산의 과정을 거치며 혈장의 입수도두까지 내려온 주룡의 용맥이 입수도두에서 혈까지 들어가는 것을 말한다. |
(8) 제8층 천반봉침
8층에는 모두 24방위가 표시되어 있고, 4층 지반정침에 비해 반위[7.5도] 순행방향으로 앞서 있다. 이는 물은 움직이는 것으로 양(陽)이기 때문이다. 8층 천반봉침은 득수처(得水處), 수구처(水口處), 지호수(池湖水) 등 정확한 위치를 측정하는데 사용한다. 풍수지리에서 물은 용혈(龍穴)과 더불어 매우 중요하다. 음인 용과 양인 물이 서로 음양 교배를 해야 만이 혈을 결지 할 수 있다. |
(9) 9층 분금
분금법(分金法)은 장사(葬事)에서 최종적 마무리 작업이다. 내광(內壙)에 하관(下棺)할 때 고허살요공망맥(孤虛煞曜空亡脈)은 피하고 왕상분금(旺相分金)만을 취하여 영혼의 명복과 그 자손의 부귀왕정(富貴旺丁)을 도모하는 층이다. |
'풍수.수맥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풍수 지리 개요 (0) | 2012.12.25 |
---|---|
음양오행론 (0) | 2012.12.25 |
폐철 이야기 (0) | 2012.12.25 |
집안에 두면 좋지 않은 35가지 (0) | 2012.12.01 |
[스크랩] 회두극좌(머리 두는 법) (0) | 2012.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