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서 400년 전 조선 중기 학자 고응척 선생 미라 발견
입력 2019.03.10. 11:47
지난 1월 경북 구미에서 조선 중기 문인이자 학자인 두곡 고응척(1531∼1605) 선생 미라가 발견된 것으로 드러났다.
10일 서라벌문화재연구원 등에 따르면 미라는 구미시 해평면 금산리 안동 고씨 선영에서 묘를 이장하던 중 발견됐다.
서라벌문화재연구원 측은 "미라 수습 후 서울대 의과대학에서 시신 옷과 부장품을 벗겨내는 해포 작업을 해왔다"며 "목관 위 명정을 확인 결과 미라가 고응척 선생인 것이 드러났다"고 밝혔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대구=연합뉴스) 최수호 기자 = 지난 1월 경북 구미에서 조선 중기 문인이자 학자인 두곡 고응척(1531∼1605) 선생 미라가 발견된 것으로 드러났다.
10일 서라벌문화재연구원 등에 따르면 미라는 구미시 해평면 금산리 안동 고씨 선영에서 묘를 이장하던 중 발견됐다.
미라가 안치됐던 회곽 안 목관에서는 의복과 솜이불, 베개, 버선 등이 나왔다. 우복 정경세 선생(1563~1633)이 쓴 것으로 추정되는 만장(추모글)도 발견됐다.
회곽묘는 석회·세사·황토로 회곽을 만들고 그 안에 목관을 안치하는 전통적 유교 방식으로 임진왜란 직후 조선 사대부 장례 때 사용했다.
서라벌문화재연구원 측은 "미라 수습 후 서울대 의과대학에서 시신 옷과 부장품을 벗겨내는 해포 작업을 해왔다"며 "목관 위 명정을 확인 결과 미라가 고응척 선생인 것이 드러났다"고 밝혔다.
이어 "임진왜란 이후 복식사 등 학술 연구를 위해 후손 동의를 얻어 CT 촬영과 유전자 분석 등을 진행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두곡 고응척은 1549년 사마시에 합격한 뒤 1561년 문과에 급제해 함흥교수로 부임했다.
이후 사직해 고향(경북 선산)에서 학문에 전념하다가 회덕현감, 경주부윤 등을 지냈다.
'풍수.수맥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여행하고 車바꾸면 稅혜택..경기침체에 국민들 지갑 열까 (0) | 2019.12.19 |
---|---|
구미서 400년 전 남·여 미라 4구 추가 발견..학계 관심 (0) | 2019.03.19 |
"백제 무왕이십니다"..뼛조각에 학자들 고개 숙이다 (0) | 2019.02.23 |
이집트서 2천년 전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시절 미라 50구 발견 (0) | 2019.02.03 |
흥선대원군이 기막히게 빼앗은 한양 제일의 정원 (0) | 2018.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