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수맥 자료

이집트서 2천년 전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시절 미라 50구 발견

수맥박사 2019. 2. 3. 14:40
반응형

이집트서 2천년 전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시절 미라 50구 발견

입력 2019.02.03. 08:36 수정 2019.02.03. 10:16

프톨레마이오스 왕조(기원전 305년∼기원전 30년)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고대 이집트의 미라 50구(具)가 발굴됐다고 AFP·로이터 통신이 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통신에 따르면 이집트 고대유물부는 고고학자들이 수도 카이로에서 남쪽으로 260㎞ 떨어진 민야 지역의 투나 엘-게벨 유적지에서 발굴된 미라들을 이날 공개했다.

이번에 발굴된 미라 50구는 투나 엘-게벨 유적지에서 9m 깊이에 있는 4개의 매장실(burial chambers)에서 발견됐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음성 기사 옵션 조절 레이어         
이집트 민야 지역의 투나 엘-게벨 유적지에서 발견된 미라들. [로이터=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정성호 기자 = 프톨레마이오스 왕조(기원전 305년∼기원전 30년)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고대 이집트의 미라 50구(具)가 발굴됐다고 AFP·로이터 통신이 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통신에 따르면 이집트 고대유물부는 고고학자들이 수도 카이로에서 남쪽으로 260㎞ 떨어진 민야 지역의 투나 엘-게벨 유적지에서 발굴된 미라들을 이날 공개했다.

AFP는 "미라들은 2천 년도 더 된 것이었지만 양호한 상태로 남아 있었다"고 전했다.

이번에 발굴된 미라 50구는 투나 엘-게벨 유적지에서 9m 깊이에 있는 4개의 매장실(burial chambers)에서 발견됐다. 50구 중 12구는 아이였고 6구는 개 등 애완동물이었다. 나머지는 성인 남녀의 미라였다.

고고학자인 모하메드 라가브는 "(미라가 된) 동물들은 그들 주인에게 너무 소중했기 때문에 함께 매장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들 미라는 리넨에 싸여 바닥에 놓였거나 석관이나 목관(木棺)에 담긴 채 발견됐다.

이집트 민야 지역의 투나 엘-게벨 유적지에서 발견된 미라들. [AFP=연합뉴스]

발굴된 미라들의 정확한 신원은 확인되지 않았다.

모스타파 와지리 이집트 최고유물위원회 사무총장은 묘지에서 이름을 찾지 못했다면서도 미라 제조법으로 판단할 때 이들이 어느 정도 중요한 신분이었음은 틀림없다고 말했다.

와지리는 또 이 무덤에서 함께 발견된 도자기 조각과 파피루스 종이 등이 이 무덤의 조성 시기를 추정하는 데 도움이 됐다고 덧붙였다.

이번 발굴 작업은 이집트 고대유물부와 민야대 고고학연구센터가 공동으로 수행한 것이다.

sisyphe@yna.co.kr



- 보금 풍수 수맥 연구소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