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리 풍수학 양택

길한 택지 고르는 방법

수맥박사 2011. 7. 24. 09:54
반응형

 

 

길한 택지(양택) 고르는 방법.

 

1.背 山 臨 水(배산임수)의 원칙.

*산을 등지고 앞에는 물이 있고,즉 집 뒤로는 알맞은 언덕(구릉)이 있어야 이곳으로 부터 생기를

전달해주는 地脈(지맥)이 내려 올수 있답니다.

*지맥이 흐름은 항상 산따라 흐르는 것이므로 뒤에는 산이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만약 집 뒤가 허전한 벌판이나 물이라면 그집은 산천의 생기는 받을수가 없겠죠?

*생기는 바람을 만나면 흩어지고 물을 만나면 멈추기 때문입니다.

*집 뒤로 산이 든든하게 받쳐주어야 거칠게 불어오는 바람을 막아주고 집의 생기를 보호할수 있답니다.

*또한 사람이 심리적인 안정을 찿을수가 있을것 입니다.(사람에 심리는 늘 뒤가 든든해야 하거든요)

*등 뒤가 허전하면 불안함을 느끼는 것이 인간에 본능이 겠지요

  따라서 집 뒤의 산은 든든한 버팀목,혹은 보호자 역활을 충분히 할수가 있을겁니다.

*집앞에는 하천이나 개울 연못 샘 논등 물이 있어야 산으로부터 용맥을 따라 내려온 지기가 취결할수 있읍니다.

  물은 지기가 더이상 빠져나가지 않도록 해주는 역활을 해주기 때문입니다.

*뿐만아니라 음인 산과 양인 물이 서로 음양교합을 하여야만 산천생기가 모여 살기좋은 길지가 되는 것입니다.

*설사 북향이라 하드라도 햇볕만 잘들면 되는것입니다.단 북향에 햇볕이 잘들기 위해선 뒷산이 낮아야하고

용맥이 길게 뻗어 내려와야 할것입니다.그리고 집 앞이 탁 트여있다면 양기는 충분히 받을수 있을것 입니다

*집터로서 북향 대지는 얼마든지 있으며 오히려 남향이라 하드라도 앞산이 너무 가까이 있으면 햇빛을 차단하여

응달이 될수 있으며 산이 있음으로 공간이좁고 답답하여 양기를 충분히 받을수 없을것입니다.

*배산임수의 원칙은 건강과 장수가 보장된 가장 중요한 원칙이므로 가볍게 여겨선 안될것이라 생각합니다.

 

2.前低後高(전저후고)의원칙.

*택지 앞에는 낮고 뒤에는 높은 지형이라야 한다.

*배산임수와 같은 의미이나 배산임수는 넓은 의미이고 전저후고는 좁은의미라 생각해도 무방 할것입니다.

*지기는 산맥을 따라 흐르다 물을만나면 멈추게 됩니다.

*물은 높은곳에서 낮은곳으로 흐르기 때문에 지기 역시 높은곳에서 낮은곳으로 흐르는 것이 일반적이라

할수 있읍니다.

*물론 行龍(행용)하는 지맥은 낮은산에서 높은산으로 갈수도 있으나 이러한 곳에서는 사람이 살기 알맞은 보국을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예외라 할수있지요.

*주산 현무봉에서 내려ㅇ온 지맥은 물을 만나 멈추기 때문에 보국이 형성된 龍盡處(용진처)의 경우 지기는 높은곳 에서

낮은고 으로 유통된다 할수있읍니다.

*따라서 지기을 제대로 맞기위해 서는 뒤가높고 앞이낮은 전저후고의 지형이라야 합니다.

*상식적으로 생각해도 집이나 건물이 들어서는 택지의 후면이 높아야 비가 올경우 배수가 잘될것입니다.

*만약 건물터가 낮고 앞이 높으면 물이 역류하여 집으로 들어올 것입니다.

 

3.햇빛을 잘 받는 지형이라야 한다

*햇빛은 인간의 삶에 매우중요한 요소입니다.

*즉 땅의 지기는 음에 해당되고 하늘의 기운 즉 천기인 햇빛은 양에 해당되므로 우주을 포함한 자연에 이치는 항상 음양이

조화을 이루어야 생산과 발전이 있읍니다.

*지기는 강한데 햇빛이 들지않으면 음양의 조화가 이루질수 없겠죠?

*특히 음의 기운이 강해 신체적 질병이 생기기쉽고 정신적으로는 정상적인 사회생활을 못할정도로 황폐해 질수 있다고 봅니다.

*주의 할점은 남향이라하여 양지바르고 좋은곳은 아닙니다.남향이라도 앞의 산이 높으면 오히려 흉합니다.

*반면 북향이라 해도 뒷산이 낮거나 용맥이 멀리까지 이어져서 햇빛을 차단하지 않으면 무관하다 할수있읍니다.

 

4.통풍이 잘되는 지형이라야 한다.

*풍수지리는 藏風得水(장풍득수)의 학문입니다.

*藏風(장풍)이라함은 "바람을 감춘다" "바람을 간직한다" '바람을품다" "바람을 저장한다" 는 의미입니다.

*이말은 바람이 통하지 않도록 가둔다는 말이 아니며 바람이 통하되 맑고 부드러워서 薰風和氣(훈풍화기)가

되어야 한다는 뜻이랍니다.

*바람도 햇빛도 같은陽(양)의 기운인 천기에 속합니다.

*택지에 비해 주변이 지나치게 높거나 사방이 모두막혀 잇다면 그 공간의 공기는 汚濁(오탁)해져 신선함을

줄수 없기 때문에  이러한 곳은 택지로 적당치 안다고 할것입니다.

*택지는 청룡 백호와 안산이 잘 감싸주면서 그 높이가 적당해야 하고 보국의 출입구인 수구는 좁게 관쇄하되 보국밖의 공기와 원활한 소통이 있어야 합니다.

*이때 바람이 거칠게 출입하면 안될것입니다.

 

5.땅이 단단하고 배수가 잘되는 지형이라야 한다.

*택지로서의 토질은 非石非土(비석비토)의 생토을 최고로칩니다.

*택지가 아직 바위나 자갈 왕모래 등으로 되어 있으면 아직 脫殺(탈살) 이 덜된곳으로 기가 억세고 혼탁하다 할것입니다.

*반면 땅이 푸석 푸석하고 먼지가 나거나 질펀한 땅은 생기가 없는곳 이라 하겠읍니다.

*생기가 뭉친땅은 보기에는 돌같은데 손으로 비비면 분가루처럼 미세하게 분해되는 입자가 고른 흙으로

紅黃紫潤(홍황자윤)한 오색토로 되어 있읍니다.

*이런 토질은 밝고 부드러우며 단단하여 물이나 벌레 나무뿌리 등이 침범할수 없읍니다.(음택에도 아주 좋다하겠읍니다)

*배수가 안되고 물이 지반에 고이는 곳은 택지로 좋지않읍니다.

흔히 골짜기나 논을 매립한 택지에서 볼수있는데 땅속이 습하고 탁한기가 계속 축척되어 거주하는 가족에게

해로운 영향를 끼친답니다.

 

6.나무나 잔디가 잘 자라야 한다.

*사람이 사는 집터에 나무 한구루 자랄수 없는곳 이라면 이곳은 생기가 없는 땅이라  봐야 할것입니다.

*생기가 있는땅에는 모든것이 잘 자랍니다.

*또한 집안에 큰나무가 있으면 목극토하여 나무뿌리가 지기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음도 염두에 두시는게 좋을듯 합니다.

*적당한 크기의 나무가 반듯하고 싱싱하게 자라는 택지,잔디가 밝고 야무지게 자라는 땅이야 말로 좋은 택지라 하겠읍니다.

- 보금 풍수 수맥 연구소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