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루사각법(金樓四角法)은 가장(家長)의 나이를 기준으로 하는 법이다. 구궁도(九宮圖) 태궁(兌宮)에서 1세를 시작하여 건궁(乾宮) 2세, 감궁(坎宮) 3세, 중궁(中宮)은 4세와 5세, 간궁(艮宮) 6세, 진궁(震宮) 7세, 손궁(巽宮) 8세, 이궁(離宮) 9세, 곤궁(坤宮) 10세, 다시 태궁(胎宮) 11세, 건궁(乾宮) 12세......의 순서로 짚어나가다가 집을 짓고자 하는 나이에 해당되는 곳을 찾는다. 만약 감(坎), 진(震), 이(離), 태(兌) 사정위(四正位)에 위치하면 그 나이에 하는 성조(成造)와 개수(改修)는 대길하다. 그러나 사유자(四維字)인 건(乾), 곤(坤), 艮(艮), 손(巽)과 중궁(中宮)에 위치하면 사각위(四角位)라 하여 그 나이에 집의 신축과 개수를 하면 정재(丁財)가 불리하다.
8) 성조 본명사각법(成造 本命四角法)
성조운(成造運)을 보는데는 대개 이 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구궁도의 곤궁(坤宮)에서 1세를 시작하여 태궁(兌宮) 2세, 건궁(乾宮) 3세, 감궁(坎宮) 4세, 중궁(中宮) 5세, 간궁(艮宮) 6세, 진궁(震宮) 7세, 손궁(巽宮) 8세, 이궁(離宮) 9세, 다시 곤궁(坤宮) 10세, 태궁(兌宮) 11세, 건궁(乾宮) 12세, 감궁(坎宮) 13세, 간궁(艮宮) 14세, 중궁(中宮) 15세, 진궁(震宮) 16세...... 의 순서로 짚어나가다가 집을 짓거나 개수하고자 하는 가주(家主)의 나이에 해당되는 곳을 찾는다. 단 5, 15, 25, 35, 45, 55, 65, 75, 85세는 무조건 중궁(中宮)에 들어오도록 배치해야 하므로 아래 구궁도처럼 다른 궁위로 갔다가 다시 중궁에 들어오는 순서로 짚어나간다.
7)항 금루사각법과 마찬가지로 사정위(四正位)인 감(坎), 진(震), 이(離), 태(兌)에 해당되면 성조(成造)에 대길(大吉)한 나이다. 그러나 사유자(四維字)인 건(乾), 곤(坤), 간(艮), 손(巽)과 중궁(中宮)에 위치하면 사각위(四角位)라 하여 대단히 흉한 나이다. 이때 간궁(艮宮)에 해당되는 것을 자사각(自四角)이라 하고, 손궁(巽宮)은 우마사각(牛馬四角), 곤궁(坤宮)은 처사각(妻四角), 건궁(乾宮)은 부모사각(父母四角), 중궁(中宮)은 잠사각(蠶四角)이라 한다. 이들의 구체적인 화복은 다음과 같다.
● 자사각 (自四角) : 6, 14, 23, 32, 41, 51, 60, 69, 78, 87세 가주 자신한테 안 좋은 나이로 집의 신축이나 개수를 할 수 없다. 가패망신(家敗亡身)이 따른다.
● 처사각 (妻四角) : 1, 10, 19, 28, 37, 46, 56, 64, 73, 82세 가주의 나이가 처사각에 해당되는 해에 집을 새로 짓거나 개수하면 부인의 신상에 안 좋은 일이 발생한다. 해당자가 없으면 무관하다.
● 부모사각 (父母四角) : 3, 12, 21, 30, 39, 48, 58, 67, 76, 84세 가주의 나이가 부모 사각에 해당되는 해에 집을 새로 짓거나 개축하면 부모의 신상에 안 좋은 일이 발생한다. 부모가 이미 사망했으면 무방하다.
● 잠사각 (蠶四角) : 5, 15, 25, 35, 45, 55, 65, 75, 85, 95세 가주의 나이가 잠사각에 해당되는 해에 집을 신개축(新改築)하면 폐농(廢農)으로 파산(破産)한다.
● 우마사각 (牛馬四角) : 8, 17, 26, 34, 43, 53, 62, 71, 80, 89세 가주의 나이가 우마사각에 해당되는 해에 축사(畜舍)를 신개축(新改築)하면 육축(六畜)이 폐사(斃死)하여 손재(損財)한다. 일반 건축은 무방하다.
|
9) 동토길일(動土 吉日)
집터를 조성하기 위해서 다른 곳에서 흙을 퍼오는 날이다.
갑자(甲子), 계유(癸酉), 무인(戊寅), 기묘(己卯), 경진(庚辰), 신사(辛巳) 갑신(甲申), 병술(丙戌), 갑오(甲午), 병신(丙申), 무술(戊戌), 기해(己亥) 경자(庚子), 갑진(甲辰), 병오(丙午), 정미(丁未), 계축(癸丑), 무오(戊午) 경오(庚午), 신미(辛未), 병진(丙辰), 정사(丁巳), 신유(辛酉)
여기에 황도(黃道), 월공(月空), 천덕(天德), 월덕(月德), 천은(天恩), 사상(四相), 생기(生氣), 옥우(玉宇), 금당(金堂), 익후(益後) 등 여러 길국(吉局)을 추가하여 맞추어주면 더욱 길한 일진(日辰)이 된다. 그러나 토황(土皇), 토온(土瘟), 토부(土符), 토기(土忌), 토귀(土鬼), 지낭(地囊), 천적(天賊), 월건(月建), 전살(轉殺), 건파(建破), 지파(地破) 등 흉신(凶神)이 있으면 꺼린다.
[主] 이와 같은 길신(吉神)과 흉신(凶神)을 알려면 시중 서점에서 판매하는 대한민력(大韓民曆), 또는 택일력(擇日曆)을 보면 그 날 그 날 작용하는 길흉신(吉凶神)을 모두 기재해 놓았다. |
10) 기지길일(基地吉日)
가옥(家屋)을 신축(新築)하거나 개수(改修)하기 위해 집터를 파거나 닦기에 가장 좋은 날이다. 땅을 처음 파는 날이므로 고사(告祀)를 지내는 것이 일반적이다.
갑자(甲子), 을축(乙丑), 정묘(丁卯), 무진(戊辰), 경오(庚午), 신미(辛未) 기묘(己卯), 신사(辛巳), 갑신(甲申), 을미(乙未), 정유(丁酉), 기해(己亥) 병오(丙午), 정미(丁未), 임자(壬子), 계축(癸丑), 갑인(甲寅), 을묘(乙卯) 경신(庚申), 신유(辛酉)
여기에 이 날이 황도(黃道), 천덕(天德), 월덕(月德) 등과 모든 길신(吉神)이 만나는 날이면 더욱 좋은 기지(基地) 조성일(造成日)이 된다. 그러나 현무(玄武), 흑도(黑道), 천적(天賊), 수사(受死), 천온(天瘟), 토온(土瘟), 토기(土忌), 토부(土符), 토금(土禁), 지살(地殺), 지파(地破), 월파(月破), 지낭(地囊) 등 흉신(凶神)이 있으면 가급적 터 파는 일을 삼간다. |
11) 정초길일(定礎吉日)
이 날은 주춧돌을 놓기에 가장 좋은 날이다. 양옥(洋屋)이나 철근콘크리트 건물인 경우는 기초 콘크리트를 하는데 길한 날이다.
갑자(甲子), 을축(乙丑), 병인(丙寅), 무진(戊辰), 기사(己巳), 경오(庚午) 신미(辛未), 갑술(甲戌), 을해(乙亥), 무인(戊寅), 기묘(己卯), 신사(辛巳) 임오(壬午), 계미(癸未), 갑신(甲申), 정해(丁亥), 무자(戊子), 기축(己丑) 경인(庚寅), 계사(癸巳), 을미(乙未), 정유(丁酉), 무술(戊戌), 기해(己亥) 경자(庚子), 임인(壬寅), 계묘(癸卯), 병오(丙午), 무신(戊申), 기유(己酉) 임자(壬子), 계축(癸丑), 갑인(甲寅), 을묘(乙卯), 병진(丙辰), 정사(丁巳) 기미(己未), 경신(庚申), 신유(辛酉)
이 날이 황도(黃道), 천덕(天德), 월덕(月德) 등 길신(吉神)이 만나는 날이면 더욱 좋은 정초일(定礎日)이다. 그러나 현무(玄武), 흑도(黑道) 등 흉신(凶神)이 있으면 가급적 주춧돌을 놓거나 기초 콘크리트 치는 일을 삼가야 한다. |
12) 수주길일(竪柱吉日)
이 날은 기둥을 세우면 길한 날이다. (竪=? : 세울 수, 柱 : 기둥 주)
기사(己巳), 을해(乙亥), 기묘(己卯), 갑신(甲申), 을유(乙酉), 무자(戊子) 기축(己丑), 경인(庚寅), 을미(乙未), 기해(己亥), 신축(辛丑), 계묘(癸卯) 을사(乙巳), 무신(戊申), 기유(己酉), 임자(壬子), 갑인(甲寅), 기미(己未) 경신(庚申), 임술(壬戌), 병인(丙寅), 신사(辛巳)
이 날이 황도(黃道), 천덕(天德), 월덕(月德) 등 길신(吉神)이 만나는 날이면 더욱 좋은 수주일(竪柱日)이다. |
13) 상량길일(上樑吉日)
이 날에 건물의 주축(主軸)인 대들보를 상량(上樑)하면 길한 날이다. 옛 조상들은 이를 중요하게 여겨 길일(吉日)과 길시(吉時)를 정해 제물(祭物)을 차려놓고 치성(致誠)으로 기복(祈福)하고 상량(上樑)하였다. 상량 시간은 황도시(黃道時)를 사용하면 좋다. 황도시는 (子午日=午申時, 丑未日=巳申時, 寅申日=辰巳時, 卯酉日=午未時, 辰戌日=辰巳申時, 巳亥日=辰午未時)
갑자(甲子), 을축(乙丑), 정묘(丁卯), 무진(戊辰), 기사(己巳), 경오(庚午) 신미(辛未), 임신(壬申), 갑술(甲戌), 병자(丙子), 무인(戊寅), 경진(庚辰) 임오(壬午), 갑신(甲申), 병술(丙戌), 무자(戊子), 경인(庚寅), 갑오(甲午) 병신(丙申), 정유(丁酉), 무술(戊戌), 기해(己亥), 경자(庚子), 신축(辛丑) 임인(壬寅), 계묘(癸卯), 을사(乙巳), 정미(丁未), 기유(己酉), 신해(辛亥) 계축(癸丑), 을묘(乙卯), 정사(丁巳), 기미(己未), 신유(辛酉), 계해(癸亥)
이 날이 황도(黃道), 천덕(天德), 월덕(月德) 등 여러 길신(吉神)이 만나는 날이면 더욱 좋은 상량일(上樑日)이다. 그러나 주작(朱雀), 흑도(黑道), 천강(天?), 촉화(燭火), 천화(天火), 월화(月火), 하화(下火), 빙소오해(氷消瓦解), 천온(天瘟), 천적(天賊), 월파(月破), 대모(大耗), 하괴(河魁), 수사(受死), 노반(魯般), 혈인(血刃), 천온(天瘟), 구토귀(九土鬼), 천재일(天災日) 등은 흉신(凶神)이 있으면 상량(上樑)을 삼간다. |
14) 개옥길일(蓋屋吉日)
이 날은 지붕을 덮는 날로 연목(椽木, 서까래)을 걸고 흙을 올리고 기와를 덮는 일 등을 하면 좋다.
갑자(甲子), 정묘(丁卯), 무진(戊辰), 기사(己巳), 신미(辛未), 임신(壬申) 계유(癸酉), 병자(丙子), 정축(丁丑), 기묘(己卯), 경진(庚辰), 계미(癸未) 갑신(甲申), 을유(乙酉), 병술(丙戌), 무자(戊子), 경인(庚寅), 계사(癸巳) 을미(乙未), 정유(丁酉), 기해(己亥), 신축(辛丑), 임인(壬寅), 계묘(癸卯) 갑진(甲辰), 을사(乙巳), 무신(戊申), 기유(己酉), 경술(庚戌), 신해(辛亥) 계축(癸丑), 을묘(乙卯), 병진(丙辰), 경신(庚申), 신유(辛酉) |
15) 파옥길일(破屋吉日)
파옥훼원(破屋毁垣)이라고도 하며, 이 날에 낡은 가옥이나 건물, 담장 등을 허물면 좋다.
의(宜) 파일(破日) : 대한민력(大韓民曆)이나 택일력(擇日曆)에 월파(月破), 지파(地破) 등 흉신(凶神)인 파(破)가 들어간 날에 해야 한다. (宜 : 마땅히 - 해야한다) |
16) 수조(修造), 동토길일(動土吉日)
모든 흙을 다루는 일에 길한 날이다. 이 날에 가옥을 건축(建築)하거나 수리(修理)한다. 또 방(房)이나 창고(倉庫) 및 부엌, 외양간, 변소 등을 짓거나 벽을 바르는 등 수리에 길한 날이다. 아래 날들은 대한민력(大韓民曆)이나 택일력(擇日曆)을 보면 “행사길일(行事吉日) 및 불길일(不吉日)”에 표시되어 있다.
사시(四時), 상생(相生), 생기(生氣), 천덕(天德), 월덕(月德), 월은일(月恩日) 정일(定日), 옥당일(玉堂日), 금궤일(金櫃日)
그러나 대장군방(大將軍方), 태세방(太歲方), 신황방(身皇方), 정명방(定命方), 이흑방(二黑方), 오자소임방(五子所臨方)은 피하나, 오자출유일(五子出遊日), 통천주마일(通天走馬日)은 해로움이 없는 날이니 무방(無妨)하다. |
17) 조문길일(造門吉日)
이 날에는 신옥(新屋) 구옥(舊屋)을 막론하고 대문, 방문, 부엌문, 창문 등을 만들어 달거나, 새로 이 문을 내는데 길한 날이다.
갑자(甲子), 을축(乙丑), 신미(辛未), 계유(癸酉), 갑술(甲戌), 임오(壬午) 갑신(甲申), 을유(乙酉), 무자(戊子), 기축(己丑), 신묘(辛卯), 계사(癸巳) 을미(乙未), 기해(己亥), 경자(庚子), 임인(壬寅), 무신(戊申), 임자(壬子) 갑인(甲寅), 병진(丙辰), 무오(戊午)
여기에 황도(黃道), 생기(生氣), 천덕(天德), 월덕(月德) 등 길신(吉神)이 합하면 더욱 좋은 날이 된다. 그러나 봄에는 동문(東門), 여름에는 남문(南門), 가을에는 서문(西門), 겨울에는 북문(北門)을 새로 달거나 수리하는 것을 기(忌, 꺼린다)한다. |
18) 수문길일(修門吉日)
문(대문, 방문, 부엌문, 창문)을 수리하는데 길한 날이다. 음력으로 대월(大月 : 30일까지 있음)에는 1일(初一日)을 아래(뒤)로부터 위(앞)로 거슬러 짚어 나가고, 소월(小月 : 29일까지 있음)은 위(앞)에서부터 아래(뒤)로 차례로 짚어 나간다. 그래서 날짜가 닿는 곳이 ○표를 만나면 대길(大吉)하고, ●표를 만나면 육축(六畜)이 손(損)하며, 인(人)자를 만나면 사람에게 손해(損害)가 있고 불리(不利)하다.
|
○ |
○ |
● |
● |
● |
○ |
○ |
人 |
人 |
人 |
○ |
○ |
○ |
● |
● |
● |
○ |
○ |
○ |
人 |
人 |
人 |
○ |
○ |
● |
● |
● |
○ |
○ |
○ |
大 月 |
30 |
29 |
28 |
27 |
26 |
25 |
24 |
23 |
22 |
21 |
20 |
19 |
18 |
17 |
16 |
15 |
14 |
13 |
12 |
11 |
10 |
9 |
8 |
7 |
6 |
5 |
4 |
3 |
2 |
1 |
小 月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 : 대길, ● : 육축 손해, 人 : 손해 불리
그러나 구랑성(九狼星), 연가점문(年家占門), 구공암인(丘公暗刃), 우황태(牛皇胎), 저태(猪胎), 육갑태신(六甲胎神), 토공(土公), 대모(大耗), 소모(小耗), 월가점문(月家占門), 또는 경인문(庚寅門)에 대부사일(大夫死日)은 기(忌)한다. |
19) 색문(塞門) 및 색로(塞路)
문을 막아버리거나 길을 없애는 날이다.
복단일(伏斷日), 폐일(閉日)을 사용한다. 대한민력(大韓民曆), 또는 택일력(擇日曆)을 보면 알 수 있다. 그러나 병인(丙寅), 기사(己巳), 경오(庚午), 정사(丁巳), 사폐일(四廢日)은 피한다. |
20) 문로길방(門路吉方)
집이나 건물의 좌(坐)에 의하여 출입문을 내는데 보는 길한 방위(方位)다.
● 임좌(壬坐) 병오문(丙午門)은 귀자(貴子)를 낳고, 건해문(乾亥門)은 가관진록(加官進祿, 진급을 하고 녹봉이 올라 재산이 늘어난다)하여 매사에 길하다.
● 자좌(子坐) 사병문(巳丙門)은 총명부귀(聰明富貴)하고, 미곤문(未坤門)은 육축(六畜)이 왕성하고 주인이 급제(及第)하며, 술건문(戌乾門)은 백사(百事)에 모두 길하다.
● 계좌(癸坐), 축좌(丑坐) 사병문(巳丙門)은 총명(聰明)하고 용모(容貌)가 수려한 재자가인(才子佳人)이 나오고, 미곤문(未坤門)은 횡재(橫財)하고 문과(文科)에 급제(及第)하며, 술건문(戌乾門)은 가정이 화목(和睦)하고 효순(孝順)한 자녀(子女)를 두는 등 백사(百事)에 모두 길창(吉昌)하다.
● 간좌(艮坐) 오정문(午丁門)은 문과(文科)에 급제(及第)하고, 신경문(申庚門)은 횡재(橫財)하고 육축(六畜)이 왕성하다.
● 인좌(寅坐) 신경문(申庚門)은 가관진록(加官進祿)하며, 오정문(午丁門)은 육축(六畜, 축산업)과 전잠(田蠶, 밭농사와 누에농사)이 잘 된다.
● 갑좌(甲坐) 신경문(申庚門)은 육축(六畜, 축산업)과 전잠(田蠶, 밭농사와 누에농사)이 왕(旺)하고, 오정문(午丁門)은 호걸(豪傑)이 나오며, 술건문(戌乾門)은 가내(家內)가 화목하나 밖으로 송사(訟事)가 염려된다.
● 묘좌(卯坐) 자계문(子癸門)은 부귀쌍전(富貴雙全)하고, 사병문(巳丙門)은 식록(食祿)이 흥하여 인구(人口)가 왕(旺)하며, 술건문(戌乾門)은 가관진록(加官進祿)하게 된다.
● 을좌(乙坐) 자계문(子癸門)은 총명과인(聰明過人)하고, 술건문(戌乾門)은 미모(美貌)와 문장(文章)이 출중한 사람이 나온다.
● 진좌(辰坐) 술건문(戌乾門)은 출색의인(出色衣人, 인물이 뛰어나 과거 급제하여 벼슬에 나감)하고, 자계문(子癸門)은 육축(六畜)과 인구(人口)와 재물(財物)이 왕(旺)하며, 신경문(申庚門)은 가정이 화목(和睦)하며 자녀가 효순(孝順)한다.
● 손좌(巽坐) 술건문(戌乾門)은 전 가족이 효도(孝道)와 의리(義理)가 있고, 신경문(申庚門)은 총명(聰明)한 자손(子孫)이 나오며, 자계문(子癸門)은 횡재(橫財)와 치부(致富)가 따른다.
● 사좌(巳坐) 축간문(丑艮門)은 우축(牛畜)이 잘 되고, 해자문(亥子門)은 생색의인(生色衣人, 과거 급제자가 나옴)하며, 미곤문(未坤門)은 예술(藝術)로 재물(財物)이 모인다.
● 병좌(丙坐) 축간문(丑艮門)은 횡재(橫財)가 따르고, 해임문(亥壬門)은 가정이 화목(和睦)하여 자녀가 효순(孝順)하며, 미곤문(未坤門)은 인인부귀(因人富貴, 타인으로 인하여 부귀하게 됨)하게 된다.
● 오좌(午坐) 축간문(丑艮門)은 인처치부(因妻致富, 아내로 인하여 부자가 됨)하고, 진손문(辰巽門)은 부부화순(夫婦和順)한다.
● 정좌(丁坐) 간인문(艮寅門)은 총명(聰明)한 사람이 나오고, 자계문(子癸門)은 문무쌍전(文武雙全)한다.
● 미좌(未坐) 진손문(辰巽門)은 처(妻)로 인하여 치부(致富)하고, 병신문(丙辛門)은 미모(美貌)가 출중한 사람이 나오며, 인간문(寅艮門)은 인구(人口)와 우마(牛馬)가 왕(旺)하다.
● 곤좌(坤坐) 인갑문(寅甲門)은 문무겸전(文武兼全)한 재사(才士)가 나오고, 술건문(戌乾門)은 재기지사(才氣之士, 재주가 뛰어난 사람)가 나오며, 자손문(子巽門)은 육축(六畜, 축산업)이 왕(旺)하다.
● 신좌(申坐) 술건문(戌乾門)은 부귀쌍전(富貴雙全)하고, 진손문(辰巽門)은 총명수재(聰明秀才)가 나오며, 인갑문(寅甲門)은 인인진작(因人進爵, 타인으로 인해서 벼슬을 얻음)을 한다.
● 경좌(庚坐) 술건문(戌乾門)은 의기지사(義氣志士)가 나오고, 진손문(辰巽門)은 미모(美貌)가 출중한 사람이 나오며, 인갑문(寅甲門)은 녹(祿)이 더하여 재물(財物)을 얻는다.
● 유좌(酉坐) 미곤문(未坤門)은 효의(孝義)로운 사람이 나오고, 진손문(辰巽門)은 인처치부(因妻致富, 아내로 인하여 부자가 됨)하며, 인갑문(寅甲門)은 진전왕인(進田旺人, 전답과 인구가 번창하여 많아진다)한다.
● 신좌(辛坐) 인갑문(寅甲門)은 가관획재(加官獲財, 벼슬이 오르고 더 많은 재물이 쌓인다)하고, 자계문(子癸門)은 인구(人口)와 전잠(田蠶, 전답과 누에농사)이 왕(旺)하며, 진손문(辰巽門)은 미모(美貌)와 기재(奇才)가 뛰어난 아이가 출생한다.
● 술좌(戌坐) 진손문(辰巽門)은 강계(慷慨, 의기가 복받쳐 분개하는 함)한 사람이 나오고, 정문(丁門)은 전잠(田蠶)이 왕(旺)하며, 인갑문(寅甲門)은 횡재(橫財)를 많이 한다.
● 건좌(乾坐) 임진문(壬辰門)은 예술(藝術)로서 성공하고, 미곤문(未坤門)은 충효(忠孝)를 구전(俱全, 완전히 갖춤)한 사람이 나온다.
● 해좌(亥坐) 축간문(丑艮門)은 수재(秀才)가 나오고, 신술문(辛戌門)은 전잠(田蠶)이 왕(旺)하며, 미경문(未庚門)은 가문(家門)이 효순(孝順)하다. |
21) 출입문(出入門) 길흉방(吉凶方)
가택구성법(家宅九星法)과 같은 것으로 가옥(家屋)이나 건물의 좌(坐)를 보고 출입문(出入門)의 길흉(吉凶)을 판단한다. 좌(坐)를 기본괘(基本卦)로 한다. 운용 방법은 상지선동(上指先動)하여 다음과 같은 순으로 변효(變爻), 변괘(變卦)해 나간다. 그러다가 해당 출입문의 방위와 같은 괘가 되면 멈추고 그곳이 구성 중 어디에 속하는지를 보고 길흉화복을 판단하면 된다.
일상생기(一上生氣), 이중오귀(二中五鬼), 삼하연년(三下延年), 사중육살(四中六殺) 오상화해(五上禍害), 육중천을(六中天乙), 칠하절명(七下絶命), 팔중보필(八中輔弼)
생기(生氣) : 탐랑(貪狼)으로 가운(家運)이 번창하고, 속발부귀(速發富貴)한다. 오귀(五鬼) : 염정(廉貞)으로 다병(多病) 단명(短命)하고, 흉사(凶事)가 끊임이 없다. 연년(延年) : 무곡(武曲)으로 승진(昇進) 득재(得財)하고, 자손이 번창하며, 건강 장수한다. 육살(六殺) : 문곡(文曲)으로 패가(敗家) 상정(傷丁)하고, 관재(官災)가 많아 형옥(刑獄)을 당한다. 화해(禍害) : 녹존(祿存)으로 다재(多災)하여 재앙이 많고 손재(損財)한다. 천을(天乙) : 거문(巨門)으로 부귀다복(富貴多福)하고 건강 장수한다. 절명(絶命) : 파군(破軍)으로 다병(多病) 단명(短命)하고, 온갖 재앙이 끊임이 없다. 귀혼(歸魂) : 보필(輔弼)로 경사중중(慶事重重)하며, 모든 일이 순탄하다.
천을(天乙), 생기(生氣), 연년문(延年門)은 길하고, 귀혼문(歸魂門)은 평범하고, 육살(六殺), 오귀(五鬼), 화해(禍害), 절명문(絶命門)은 흉하다.
|
22) 조묘파쇄일(造廟破碎日)
조묘파쇄일(造廟破碎日)이란 사당(祠堂)을 짓는데 피하는 날이다.
인일(寅日), 진일(辰日), 사일(巳日), 신일(申日), 술일(戌日), 해일(亥日)

인일(寅日) : 지주(地主)가 대난(大難)을 당(當)한다. 진일(辰日) : 신(神)의 영기(靈氣)가 없어진다. 사일(巳日) : 지사(地師)가 액(厄, 재앙, 불행)을 당한다. 신일(申日) : 주인이 단명(短命)한다. 술일(戌日) : 향리(鄕里)에 질병(疾病, 온황瘟黃)이 생긴다. 해일(亥日) : 목수(木手)가 재앙(災殃)을 당한다.
|
23) 신호귀곡일(神號鬼哭日)
이 날은 신묘(神廟, 조상의 신주나 위패를 모신 사당)를 세우고, 신상(神像, 초상화, 영정)을 그리는 것을 기(忌)하는 날이다. 귀신이 통곡을 한다하니 마땅히 피해야 한다.
사당을 세우고 신상(神像)을 그리는데 있어서는 신호일(神號日), 귀곡일(鬼哭日) 양일을 범하지 말고, 마땅히 지운정국(地運定局)을 택하되, 주인의 본명(本命)에 해가 없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신황(身皇), 정명(定命), 대장군(大將軍), 태세방(太歲方) 등 역시 범하면 안 된다. 그러나 대장군방(大將軍方)이나 태세방(太歲方)은 오자출유일(五子出遊日)을 사용하여 일진(日辰)의 납음(納音)으로써 제지(制之)하면 해가 없다. |
24) 개지당길일(開池塘吉日)
이 날에 연못, 저수지를 파거나 둑을 쌓으면 길하다.
갑자(甲子), 을축(乙丑), 임오(壬午), 갑신(甲申), 계사(癸巳), 무술(戊戌) 경자(庚子), 신축(辛丑), 을사(乙巳), 신해(辛亥), 계축(癸丑), 정사(丁巳) 신유(辛酉), 계해(癸亥)
이 날에 천덕(天德), 월덕(月德), 생기(生氣) 등 길신(吉神)이 겹치면 더욱 길한 날이다. |
25) 천정길일(穿井吉日)
이 날에 우물을 파거나 수도(水道)를 놓으면 매우 길하다. 본산(本山)의 생왕방(生旺方)을 취(取)하면 더욱 대길(大吉)한다.
갑자(甲子), 을축(乙丑), 계유(癸酉), 병자(丙子), 임오(壬午), 계미(癸未) 갑신(甲申), 을유(乙酉), 정해(丁亥), 무자(戊子), 계사(癸巳), 갑오(甲午) 을미(乙未), 무술(戊戌), 경자(庚子), 신축(辛丑), 임인(壬寅), 을사(乙巳) 기유(己酉), 신해(辛亥), 계축(癸丑), 정사(丁巳), 무오(戊午), 기미(己未) 경신(庚申), 신유(辛酉), 계해(癸亥)
이 날에 황도(黃道), 천덕(天德), 월덕(月德), 천덕합(天德合) 및 월덕합(月德合) 및 생기(生氣) 등이 겹치면 길하다. 그러나 인방(寅方)은 장수(長壽), 묘진사방(卯辰巳方)은 부귀(富貴) 등 기타의 방은 흉하니 사용하지 말라. 또 년가삼살(年家三殺), 주현관부(州縣官符) 및 월가흉살(月家凶殺)이다. 만일 우물을 파는 곳이 가옥으로부터 120보 밖이면 꺼리지(忌) 않는다. 또 세관(歲官)이 교승(交承)하는 때에는 일절(一切)의 방향을 불문한다. |
26) 수정길일(修井吉日)
이 날에 우물, 수도 등을 수리하면 길하다. 이 날은 천정일(穿井日)과도 통용(通用) 된다.
임오(壬午), 갑신(甲申), 무술(戊戌), 경자(庚子), 신축(辛丑), 을사(乙巳) 신해(辛亥), 계축(癸丑), 정사(丁巳)
이 날 구랑성(九狼星), 년가점정(年家占井), 대모(大耗), 소모(小耗), 토공(土公), 유룡(遊龍), 복룡(伏龍), 우황(牛皇), 저태(猪胎), 마태(馬胎), 양태(羊胎), 월가점정(月家占井) 등이 흉신(凶神)이 겹치면 피한다. 흑도(黑道), 천온(天瘟), 토온(土瘟), 천적(天賊), 수사(受死), 토기(土忌), 토부(土符), 지낭(地囊), 혈기(穴忌), 비염(飛廉), 구공(九空), 수격(水隔), 구토귀(九土鬼), 정사폐(正四廢), 천지전살(天地轉殺), 복단(伏斷) 등 흉살(凶殺)도 피한다.
천갈일(泉渴日 : 바닥 청소를 하기 위해 우물물이나 샘물을 퍼내는 날)은 신사(辛巳), 기축(己丑), 경인(庚寅), 임진(壬辰), 무신(戊申) 일이 좋다. 천폐일(泉閉日 : 우물이나 샘물을 막아버리는 날)은 무진(戊辰), 신사(辛巳), 기축(己丑), 경인(庚寅), 갑인(甲寅) 일이 좋다. |
27) 작측일(作厠日), 수측일(修厠日)
작측일(作厠日)은 변소(便所) 즉 화장실을 짓기에 좋은 날이고, 수측일(修厠日)은 변소 또는 화장실을 수리하기에 좋은 날이다.
작측일(作厠日) : 경진(庚辰), 병술(丙戌), 계사(癸巳), 임자(壬子), 기미(己未) 수측일(修厠日) : 기묘(己卯), 임오(壬午), 임자(壬子), 을묘(乙卯), 무오(戊午)
그러나 음력 정월(正月), 6월(六月), 육갑태신(六甲胎神), 우태(牛胎), 월가(月家), 점측일(占厠日)은 피(忌)한다. |
28) 안대애일(安??日)
이 날에는 방앗간(? : 방아 안, 디딜방아 안, ? : 맷돌 애), 정미소(精米所), 제분소(製粉所), 정유소(精油所) 등을 지으면 길하다.
경오(庚午), 신미(辛未), 갑술(甲戌), 을해(乙亥), 경인(庚寅), 경자(庚子) 경신(庚申)
그러나 천적(天賊), 토부(土符), 토부(土府), 지낭(地囊), 오묘(五墓), 건(建), 파(破), 평(平), 수일(收日), 우태(牛胎), 토왕용사후(土王用事後)를 기(忌)한다. 또한 봄에는 방앗간을 설치하지 못하고, 여름에는 맷돌을 설치하지 못한다. |
29) 작마방일(作馬枋日), 수마방일(修馬枋日)
마굿간 및 모든 축사(畜舍)를 짓거나 수리하는데 길한 날을 말한다.
● 작마방일(作馬枋日) : 마굿간 및 모든 축사(畜舍)를 짓는데 길한 날 갑자(甲子), 정묘(丁卯), 신미(辛未), 을해(乙亥), 기묘(己卯), 갑신(甲申) 무자(戊子), 신묘(辛卯), 임진(壬辰), 경자(庚子), 임인(壬寅), 을사(乙巳) 임자(壬子)
무인(戊寅), 경인(庚寅), 무오(戊午), 천적(天賊), 사폐(四廢), 월가마황(月家馬皇), 마태(馬胎) 등 흉신(凶神)이 있으면 기(忌)한다.
● 수마방일(修馬枋日) : 마굿간 및 모든 축사를 수리하는데 길한 날 무자(戊子), 기축(己丑), 갑진(甲辰), 을사(乙巳)
월가마황(月家馬皇), 마태(馬胎), 고방(古枋)을 기(忌)한다. |
(2) 이사택일법(移徙擇日法) = 이사문(移徙門)
옛날 농경사회에서는 한 집에서 태어나 평생을 그 집에서 사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현대 산업 사회에서는 이사(移徙)가 빈번해졌다. 이사(移徙)란 생활의 터전을 옮기고 가족의 생활환경을 완전히 바꾸는 매우 중요한 일이다. 이사를 잘 하느냐 못하느냐에 따라 그 집안의 흥망(興亡)이 좌우되는 것을 종종 목격한다. 현재 살고 있는 집보다 더 좋은 터전으로 이사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그러나 이사하는 날의 일진(日辰)과 이사 방위도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흔히 ‘손(損)없는 날’이라 하여 음력 그믐날이나 9일, 10일, 19일, 20일, 29일, 30일만 골라 이사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사택일을 하는데 ‘손 없는 날’ 한 가지로만 좋다 나쁘다 할 수는 없다. 물론 손 없는 날도 중요하지만 여기에 좋은 길신(吉神)이 작용하는 날을 가미하여야 한다. 이사길일을 택하는 방법은, 첫째 고정되어 있는 이사길일을 고르고, 둘째 이사주당법(移徙周堂法), 황도(黃道), 천월덕(天月德), 역마(驛馬) 등 길신일(吉神日)을 찾고, 셋째 가주(家主)의 생기(生氣), 복덕(福德) 등을 합국(合局)하여 길일을 택한다. | 1) 삼갑년순법(三甲年旬法)
60갑자(甲子)를 육갑(六甲)으로 나누어 생갑순(生甲旬), 병갑순(病甲旬), 사갑순(死甲旬)으로 분류하고, 당해 년의 지지(地支)를 기준으로 일진(日辰)의 길흉(吉凶)을 보는 법이다. 이사, 입택, 혼인, 취임, 부임 등은 생갑순(生甲旬)의 일진이 길하고, 병갑순(病甲旬)의 일진은 불리하며, 사갑순(死甲旬) 일진에는 사망이나 질병의 불행이 따른다.

[육갑(六甲)] ● 갑자순(甲子旬) = 甲子, 乙丑, 丙寅, 丁卯, 戊辰, 己巳, 庚午, 辛未, 壬申, 癸酉 ● 갑술순(甲戌旬) = 甲戌, 乙亥, 丙子, 丁丑, 戊寅, 己卯, 庚辰, 辛巳, 壬午, 癸未 ● 갑신순(甲申旬) = 甲申, 乙酉, 丙戌, 丁亥, 戊子, 己丑, 庚寅, 辛卯, 壬辰, 癸巳 ● 갑오순(甲午旬) = 甲午, 乙未, 丙申, 丁酉, 戊戌, 己亥, 庚子, 辛丑, 壬寅, 癸卯 ● 갑진순(甲辰旬) = 甲辰, 乙巳, 丙午, 丁未, 戊申, 己酉, 庚戌, 辛亥, 壬子, 癸丑 ● 갑인순(甲寅旬) = 甲寅, 乙卯, 丙辰, 丁巳, 戊午, 己未, 庚申, 辛酉, 壬戌, 癸亥
| 2) 입택귀화일(入宅歸火日)
귀화(歸火)는 조상(祖上)의 신(神)인 복신(福神)을 옮겨 모신다는 뜻으로, 이 날 이사(移徙)하면 좋다. 또한 새로 이사한 집의 ‘집들이’하는 날로는 더욱 좋다.
갑자(甲子), 을축(乙丑), 병인(丙寅), 정묘(丁卯), 기사(己巳), 경오(庚午) 신미(辛未), 갑술(甲戌), 을해(乙亥), 정축(丁丑), 계미(癸未), 갑신(甲申) 경인(庚寅), 임진(壬辰), 을미(乙未), 경자(庚子), 임인(壬寅), 계묘(癸卯) 병오(丙午), 정미(丁未), 경술(庚戌), 계축(癸丑), 갑인(甲寅), 을묘(乙卯) 기미(己未), 경신(庚申), 신유일(辛酉日)
이 날들도 가주(家主, 집안의 주인)의 생기복덕법(生氣福德法)에 맞추어 생기(生氣), 천의(天醫), 복덕(福德), 보필(輔弼)에 해당되고, 천월덕(天月德), 역마일(驛馬日), 황도(黃道), 천은(天恩) 등 길신일(吉神日)과 합국(合局)하면 더욱 좋은 이사일(移徙日)과 집들이 날이다. 그러나 화해(禍害), 절명(絶命), 절체(絶體), 유혼일(遊魂日)에 해당되거나, 흑도(黑道), 천적(天賊), 천강(天?), 복단(伏斷), 수사(受死) 등 흉신(凶神)이 겹치는 날은 피한다. | 3) 이안주당법(移安周堂法) = 이사주당법(移徙周堂法)
예부터 이사 택일하는데 이안주당법(移安周堂法)을 많이 이용하였다. 이사하는 날이 천(天), 이(利), 부(富), 안(安), 사(師)의 길(吉)의 5곳에 입궁(入宮)하면 길한 날이다. 그러나 재(災), 살(殺), 해(害) 3곳의 흉한 곳에 입궁(入宮)하면 흉한 날이다. 이사하는 달(月)이 음력으로 30일까지 있는 대월(大月)이면 안(安)에서 1일을 시작하여 이(利)을 향해 2일, 천(天)에서 3일, 해(害) 4일, 살(殺)에서 5일, 부(富)에서 6일, 사(師)에서 7일, 재(災)에서 8일, 다시 안(安)에서 9일...... 하면서 좌측으로 순행(시계 방향)하면 된다. 반대로 음력으로 29일까지 있는 소월(小月)이면 천(天)에서 1일을 시작하여 이(利)에서 2일, 안(安)에서 3일, 재(災)에서 4일......하면서 우측으로 역행(시계 반대 방향)한다. 이사 당일(當日)이 입궁하는 곳이 바로 그 날의 이사주당(移徙周堂)이 된다.

| 4) 이거길일(移居吉日)
이 날에 이사(移徙) 및 입택(入宅)하면 길하다.
갑자(甲子), 을축(乙丑), 병인(丙寅), 경오(庚午), 정축(丁丑), 을유(乙酉) 경인(庚寅), 임진(壬辰), 계사(癸巳), 을미(乙未), 임인(壬寅), 계묘(癸卯) 병오(丙午), 경술(庚戌), 계축(癸丑), 을묘(乙卯), 병진(丙辰), 정사(丁巳) 기미(己未), 갑신일(甲申日)
이 날에 역마(驛馬), 월은(月恩), 사상(四相) 등 길신(吉神)이 합궁하면 더욱 길하다. 그러나 귀기(歸忌), 천적(天賊), 수사(受死), 등 흉신(凶神)이나 가주본명의 생기복덕으로 화해(禍害), 절명(絶命), 절체(絶體), 유혼일(遊魂日)에 해당되면 흉하다. | 5) 생기복덕법(生氣福德法)
생기복덕법은 옛날부터 오늘 일진(日辰)과 방위(方位)의 길흉(吉凶)을 예측하는데 사용한 법으로 이사를 비롯해서 모든 택일(擇日)의 기초가 된다. 나이를 기본괘로 하고, 상지선동(上指先動)하여 작괘(作卦)한다. 일상생기(一上生氣), 이중천의(二中天醫), 삼하절체(三下絶體), 사중유혼(四中遊魂) 오상화해(五上禍害), 육중복덕(六中福德), 칠하절명(七下絶命), 팔중귀혼(八中歸魂)

◎ 생기복덕법(生氣福德法)의 길흉화복
● 생기(生氣) 탐랑(貪狼)으로 극귀지상(極貴之象)이며 매사 형통의 대길한 일진과 방위다.
● 천의(天醫) : 거문(巨門)으로 부귀지상(富貴之象)이며 매사 형통의 대길한 일진과 방위다.
● 절체(絶體) : 녹존(祿存)으로 병권지상(兵權之象)이며 매사 부진한 일진과 방위다.
● 유혼(遊魂) : 문곡(文曲)으로 준아지상(俊雅之象)이며 이해상반의 별무득실한 일진과 방위.
● 화해(禍害) : 염정(廉貞)으로 살벌지상(殺伐之象)이며 매사 부진에 인상손재(人傷損財)한다.
● 복덕(福德) : 무곡(武曲)으로 극귀지상(極貴之象)이며 매사 형통에 대길한 일진과 방위다.
● 절명(絶命) : 파군(破軍)으로 호쟁지상(好爭之象)이며 매사 부진에 인상다재의 대흉이다.
●귀혼(歸魂) : 보필(輔弼)로 간웅탐공지상(奸雄貪恭之象)이며 무사안일하고 별무득실하다. | 6) 태백살(太白殺)
속칭 ‘손(損) 없는 날’이라고 한다. 매월 9일, 10일, 19일, 20일, 29일, 30일에는 손(損)이 없는 날이기 때문에 이사에 무방하다. 태백살(太白殺)은 날짜에 따라 그 방향에 살(殺)이 존재한다는 것인데, 1일, 11일, 21일은 동방(東方), 2일, 12일, 22일은 동남방(東南方), 3일, 13일, 23일은 남방(南方), 4일, 14일, 24일은 서남방(西南方), 5일, 15일, 25일은 서방(西方), 6일, 16일, 26일은 서북방(西北方), 7일, 17일, 27일은 북방(北方), 8일, 18일, 28은 동북방(東北方)에 있다. 그런데 9일, 10일, 19일, 20일, 29일, 30일에는 흉신(凶神)이 하늘로 올라가 지상(地上)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이사(移徙)를 해도 아무런 피해가 없다고 한다. | 7) 천상천하대공망일 (天上天下大空亡日)
이 날은 지상에 있는 모든 신(神)이 염라대왕(閻羅大王)의 호출로 회의하러 하늘로 올라간다는 날이다. 따라서 흉신(凶神)이건 길신(吉神)이건 지상에 신이 없으므로 이사를 비롯해서 터 파기, 기초공사, 집수리, 장례식 등에 이 날을 사용하면 무방하다. 특히 이사, 건축, 이장(移葬) 등에 날짜가 긴박하여 원칙대로 택일이 불가능할 경우 아래 공망일(空亡日)을 사용하면 해가 없다고 한다.
을축(乙丑), 갑술(甲戌), 을해(乙亥), 계미(癸未), 갑신(甲申), 을유(乙酉) 임진(壬辰), 계사(癸巳), 갑오(甲午), 임인(壬寅), 계묘(癸卯), 임자일(壬子日) | 8) 복단일(伏斷日) = 인연을 끊는 날
복단일(伏斷日)이란 엎어지고 끊긴다는 뜻으로 대흉(大凶)하므로 이사, 혼인, 여행 등 백사(百事)에 불리한 날이다. 그러나 황도일(黃道日)을 겹치면 무해하다고 한다. 또 화장실(변소)을 새로 짓거나 수리하는 날, 어린 아이 젖떼는 일, 남과 인연을 끊는 일에 사용하면 효과가 있다고 한다. 복단일은 요일(曜日)과 관계가 있다.

예를 들어 일진(日辰)이 자일(子日)인데 일요일(日曜日)이면 복단일(伏斷日)이다. | 9) 월기일(月忌日)
매사에 방해를 놓는 흉신(凶神)이 작용하는 날로 이사, 집들이, 장거리 여행, 결혼식, 잔치 등에 꺼린다. 그러나 인일(寅日)과 묘일(卯日)에 해당되면 살이 제거된다.
매월 음력 5일, 14일, 23일 | 10) 천롱일(天聾日), 지아일(地啞日)
이 날은 흙 다루며 집을 짓거나 수리하는 등 백사(百事)에 유리한 날이다.
● 천롱일(天聾日) 병인(丙寅), 무진(戊辰), 병자(丙子), 병신(丙申), 경자(庚子), 임자(壬子), 병진(丙辰)
● 지아일(地啞日) 을축(乙丑), 정묘(丁卯), 신사(辛巳), 을미(乙未), 기해(己亥), 신축(辛丑), 신해(辛亥), 계축(癸丑), 을묘(乙卯), 신유(辛酉) | 11) 황흑도(黃黑道) 길흉영정국(吉凶永定局)
황도(黃道)는 능히 흉살(凶殺)을 제살(制殺)할 수 있는 길신(吉神)이다. 이사는 물론 혼인, 기초공사, 안장(安葬) 등 모든 일에 대길(大吉)하다. 즉 천강(天?), 하괴(河魁) 등과 같은 흉살(凶殺)이 있다하더라도 이를 모두 제거할 수 있으므로 모든 행사에 무방한 날이다. 그러나 흑도(黑道)는 대흉(大凶)하므로 피해야 한다. 황흑도길흉영정국(黃黑道吉凶永定局)은 월(月)에서 길한 날짜를 택일(擇日)하고, 일(日)에서 길한 시간(時間)을 보는 법이다. 모든 행사에 길한 날짜로 시간을 잡으려면 흑도일시(黑道日時)를 피하고 황도일시(黃道日時)만을 쓰는 것이 좋다.

[예] 음력 11월(子月)에는 황도일(黃道日)인 신일(申日), 유일(酉日), 묘일(卯日), 자일(子日), 오일(午日), 축일(丑日)을 택일(擇日)하고, 시간도 신시(申時), 유시(酉時), 묘시(卯時), 자시(子時), 오시(午時), 축시(丑時)가 길하다. | 12) 오합일(五合日)
인일(寅日)과 묘일(卯日)을 오합일(五合日)이라 한다. 흔히 혼인(婚姻) 날짜를 택일할 때 쓰는 법이다. 간혹 매스컴에서 “몇 년만에 들어오는 오합 대길일”하면서 여러 택일법 중 다섯 가지 이상이 합국(合局)되어 이루어진 날처럼 잘못 오도(誤導)하고 있다. 오합(五合)이란 해와 달이 합하는 날(日月合), 음양이 합하는 날(陰陽合), 백성이 합하는 날(人民合), 쇠와 돌이 합하는
날(金石合), 강과 하천이 합하는 날(江河合)이 각기 따로 있다. 따라서 60갑자일 중에서 인일(寅日)과 묘일(卯日)이 들어가는 날은 모두 오합일(五合日)에 해당된다. 이 날을 좋다고 하는 것은 음양불장길일(陰陽不將吉日)과 득합(得合)하면 다른 길흉성(吉凶星)은 일절(一切) 불문(不問)하고 영세대길(永世大吉)하다고 하기 때문이다.
일월합(日月合) : 갑인일(甲寅日), 을묘일(乙卯日) 음양합(陰陽合) : 병인일(丙寅日), 정묘일(丁卯日) 인민합(人民合) : 무인일(戊寅日), 기묘일(己卯日) 금석합(金石合) : 경인일(庚寅日), 신묘일(辛卯日) 강하합(江河合) : 임인일(壬寅日), 계묘일(癸卯日) | 13) 일반 택일상식
이사를 비롯해서 모든 택일에 가장 좋은 방법은 먼저 나이로 생기복덕법(生氣福德法)으로 가주(家主)나 자신에게 좋은 날을 택한다. 예를 들자면 생기일(生氣日), 천의일(天宜日), 복덕일(福德日)을 택한 다음 시중 서점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대한민력(大韓民曆)이나 택일력(擇日曆)을 보고 길신(吉神)이 많은 날을 고른다. 민력이나 택일력은 일자별로 각종 행사에 좋은 날과 나쁜 날들을 모두 기록 해놓았다. 의일(宜日) 또는 유리한 날을 보아 자신의 생기법덕법으로 좋은 날과 일치시키면 가장 무난한 택일이 된다. |
(3) 이사방향(移徙方向)
이사 방향은 이사방소법(移徙方所法), 방위생기법(方位生氣法), 오귀삼살방(五鬼三殺方), 대장군방위(大將軍方位) 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그러나 새로 이사할 집 터가 좋으면 방위에 지나치게 얽매일 필요가 없다고 본다. 또 자기가 사는 집에서 120보(약100m)이상이면 이사 방향을 가리지 않고 임의대로 이사해도 무방(無妨)하다고 천기대요(天機大要) 방소법(方所法)에 나와있다. 따라서 바로 옆집이나 동네가 아닌 이상 차량으로 먼 거리를 간다면 이사 방향은 무시해도 된다하겠다. 이사 방향을 측정하는 기준점은 자신이 살고 있는 집의 안방이다.
[천기대요 원문]
자주옥일백이십보외(自住屋一百二十步外) 불문방소임의이사길(不問方所任意移徙吉) - 자신이 살고 있는 가옥에서 120보 이상 떨어진 곳은, 방위를 불문하고 임의대로 이사해도 길하다. - | 1) 생기복덕(生氣福德) 방위(方位)
생기복덕법(生氣福德法)으로 길한 궁위에 해당되는 방위를 고르는 방법이다. 이사하는 해의 가주 나이에 따라 길한 방위가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앞장 생기복덕법(生氣福德法)에서 했으므로 이를 참고하기 바란다. | 2) 이사방소법(移徙方所法)
일명 천록법(天祿法)이라고도 하는데 옛날부터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법이다. 이사 방소법은 가주(家主)의 당년(當年) 나이와 구궁도(九宮圖)를 기본으로 한다. 가주(家主)의 당년 나이로 년궁(年宮)을 결정한 다음, 방소법(方所法)의 고정 순차를 배치하여 당년의 길한 방위를 찾으면 된다.
사녹손궁(四祿震宮) 징파(徵破) 동남쪽 |
구자이궁(九紫離宮) 퇴식(退食) 정남쪽 |
이흑곤궁(二黑坤宮) 안손(眼損) 남서쪽 |
삼벽진궁(三碧震宮) 식신(食神) 정동쪽 |
오황중궁(五黃中宮) 오귀(五鬼) 중앙 |
칠적태궁(七赤兌宮) 진귀(進鬼) 정서쪽 |
팔백간궁(八白艮宮) 관인(官印) 북동쪽 |
일백감궁(一白坎宮) 천록(天祿) 정북쪽 |
육백건궁(六白乾宮) 합식(合食) 서북쪽 |
◎ 방소법의 길흉화복 (方所法의 吉凶禍福)
일천록(一天祿) : 천록진록획재(天祿進祿獲財) - 관록(官祿)과 재산(財産)을 얻는다. 이안손(二眼損) : 안손손재안병(眼損損財眼病) - 손재(損財)와 눈병이 생긴다. 삼식신(三食神) : 식신영재치부(食神盈財致富) - 재물이 풍족하여 치부(致富)한다. 사징파(四徵破) : 징파도재손지(徵破盜財損志) - 재물을 도둑맞고 손재(損財)한다. 오오귀(五五鬼) : 오귀가택불녕(五鬼家宅不寧) - 집안에 우환과 근심이 많다. 육합식(六合食) : 합식부귀쌍전(合食富貴雙全) - 매사 형통하여 부귀를 다한다. 칠진귀(七進鬼) : 진귀귀숭재해(進鬼鬼崇災害) - 요사한 일과 재난이 많다. 팔관인(八官印) : 관인가관진작(官印加官進爵) - 벼슬이 오르고 승진도 한다. 구퇴식(九退食) : 퇴식가산퇴패(退食家産退敗) - 재산이 점점 줄고 망한다.
◎ 년궁(年宮) 찾는 법 남자는 구궁도의 삼벽진궁(三碧震宮)에서 1세를 시작하여 구궁도 순차대로 나이를 세어가다가 자신의 나이가 해당되는 곳이 년궁(年宮)이다. 즉 삼벽진궁(三碧震宮)에서 1세, 사녹손궁(四祿巽宮)에서 2세, 오황중궁(五黃中宮)에서 3세, 육백건궁(六白乾宮)에서 4세, 칠적태궁(七赤兌宮)에서 5세, 팔백간궁(八白艮宮)에서 6세, 구자이궁(九紫離宮)에서 7세, 일백
간궁(一白坎宮)에서 8세, 이흑곤궁(二黑坤宮)에서 9세, 다시 삼벽진궁(三碧震宮)에서 10세, 사녹손궁(四祿巽宮)에서 11세, 오황중궁(五黃中宮)에서 12세, 육백건궁(六白乾宮)에서 13세, 칠적태궁(七赤兌宮)에서 14세, 팔백간궁(八白艮宮)에서 15세, 구자이궁(九紫離宮)에서 16세, 일백간궁(一白坎宮)에서 17세, 이흑곤궁(二黑坤宮)에서 18세...... 순으로 짚어나가다가 자신의 나이가 되는 곳이 년궁이 된다.
여자는 이흑곤궁(二黑坤宮)에서 1세를 시작하여 역시 구궁도를 순행하면 된다. 즉 이흑곤궁(二黑坤宮)에서 1세, 삼벽진궁(三碧震宮)에서 2세, 사녹손궁(四祿巽宮)에서 3세, 오황중궁(五黃中宮)에서 4세, 육백건궁(六白乾宮)에서 5세, 칠적태궁(七赤兌宮)에서 6세, 팔백간궁(八白艮宮)에서 7세, 구자이궁(九紫離宮)에서 8세, 일백감궁(一白坎宮)에서 9세, 다시 이흑곤궁(二黑坤宮)에서 10세, 삼벽진궁(三碧震宮)에서 11세, 사녹손궁(四祿巽宮)에서 12세, 오황중궁(五黃中宮)에서 13세...... 순으로 짚어나가다가 자신의 나이가 되는 곳이 년궁이 된다.
◎ 방위 결정하는 법 이사 방위의 길흉화복을 가리는 방법은 자신의 나이에 해당되는 년궁(年宮)을 오황중궁(五黃中宮)에 놓고, 방소법(方所法)의 순서에 따라 일천록(一天祿), 이안손(二眼損), 삼식신(三食神), 사징파(四徵破), 오오귀(五五鬼), 육합식(六合食), 칠진귀(七進鬼), 팔관인(八官印), 구퇴식(九退食)으로 배치하면 된다.
이때 방소법(方所法)은 년궁(年宮) 구궁도 숫자 다음부터 배치한다. 예를 들어 자신의 년궁이 사녹손궁(四祿巽宮)으로 끝났으면 사징파(四徵破)를 오황중궁(五黃中宮)에 놓고 오오귀(五五鬼)부터 육백건궁(六白乾宮), 육합식(六合食)은 칠적태궁(七赤兌宮), 칠진귀(七進鬼)는 팔백간궁(八白艮宮), 팔관인(八官印)은 구자이궁(九紫離宮), 구퇴식(九退食)은 일백감궁(一白坎宮), 일천록(一天祿)은 이흑곤궁(二黑坤宮), 이안손(二眼損)은 삼벽진궁(三碧震宮), 삼식신(三食神)은 사녹손궁(四祿巽宮)이 된다.
[예1] 올해 42세의 남자에게 길한 방위는? 먼저 42세 남자의 년궁(年宮)을 찾아야 하므로 삼벽진궁(三碧震宮)에서 1세, 사녹손궁(四祿巽宮)에서 2세, 오황중궁(五黃中宮)에서 3세, 육백건궁(六白乾宮)에서 4세, 칠적태궁(七赤兌宮)에서 5세, 팔백간궁(八白艮宮)에서 6세, 구자이궁(九紫離宮)에서 7세, 일백감궁(一白坎宮)에서 8세, 이흑곤궁(二黑坤宮)에서 9세...... 팔백간궁(八白艮宮)에서 42세가 된다.
간궁(艮宮)은 관인(官印)이므로 이를 오황중궁(五黃中宮)에 놓고, 방소법에 따라 구궁도에 배치하면 팔관인(八官印)은 오황중궁(五黃中宮), 구퇴식(九退食)은 육백건궁(六白乾宮), 일천록(一天祿)은 칠적태궁(七赤兌宮), 이안손(二眼損)은 팔백간궁(八白艮宮), 삼식신(三食神)은 구자이궁(九紫離宮), 사징파(四徵破)는 일백감궁(一白坎宮), 오오귀(五五鬼)는 이흑곤궁(二黑坤宮), 육합식(六合食)은 삼벽진궁(三碧震宮), 칠진귀(七進鬼)는 사녹손궁(四祿巽宮)이 된다. 길한 방위는 관인(官印)인 중앙과 천록(天祿)인 태방(兌方, 정서쪽), 식신(食神)인 이방(離方, 정남쪽), 합식(合食)인 진방(震方, 정동쪽)이다.
[예2] 올해 42세의 여자에게 길한 방위는? 먼저 42세 여자의 년궁(年宮)을 찾아야 하므로 이흑곤궁(二黑坤宮)에서 1세, 삼벽진궁(三碧震宮)에서 2세, 사녹손궁(四祿巽宮)에서 3세, 오황중궁(五黃中宮)에서 4세, 육백건궁(六白乾宮)에서 5세, 칠적태궁(七赤兌宮)에서 6세, 팔백간궁(八白艮宮)에서 7세, 구자이궁(九紫離宮)에서 8세, 일백간궁(一白坎宮)에서 9세...... 칠적태궁(七赤兌宮)에서 42세가 된다. 태궁(兌宮)은 칠진귀(七進鬼)이므로 이를 오황중궁(五黃中宮)에 놓고, 육백건궁(六白乾宮)은 팔관인(八官印),
칠적태궁(七赤兌宮)은 구퇴식(九退食), 팔백간궁(八白艮宮)은 일천록(一天祿), 구자이궁(九紫離宮)은 이안손(二眼損), 일백감궁(一白坎宮)은 삼식신(三食神), 이흑곤궁(二黑坤宮)은 사징파(四徵破), 삼벽진궁(三碧震宮)은 오오귀(五五鬼), 사녹손궁(四祿巽宮)은 육합식(六合食)이 된다. 길한 방위는 관인(官印)인 건방(乾方, 서북쪽)과 천록(天祿)인 간방(艮方, 북동쪽), 식신(食神)인 감방(坎方, 정북쪽), 합식(合食)인 손방(巽方, 동남쪽)이다.
| 3) 태백살(太白殺)
일자에 따라 그 방향에 있는 살(殺)을 말한다. 택백살이 있는 방향으로 이사(移徙)를 하거나 출행(出行)을 하면 손해(損害)가 있다하여 일명 ‘손 있는 방위’ 또는 ‘손 있는 날’이라고도 한다. 흔히 9일, 10일, 19일, 20일, 29일, 30일을 ‘손 없는 날’이라고 하는 것도 여기서 연유한 것이다. 그 날은 살(殺)이 상천(上天)하여 무살(無殺)이기 때문이다.
1일, 11일, 21일 : 동방(東方) 2일, 12일, 22일 : 동남방(東南方) 3일, 13일, 23일 : 남방(南方) 4일, 14일, 24일 : 서남방(西南方) 5일, 15일, 25일 : 서방(西方) 6일, 16일, 26일 : 서북방(西北方) 7일, 17일, 27일 : 북방(北方) 8일, 18일, 28일 : 동북방(東北方)에 태백살이 있다. | 4) 오귀삼살방(五鬼三煞方)
삼살방(三殺方)이라고도 하며, 겁살(劫殺), 재살(災殺), 세살(歲殺)을 말한다. 년에 따라 존재하는 것으로 안방에서 120보(약100m) 이상 되는 거리는 이에 구애받지 않는다.
신자진 년(申子辰 年) : 사오미 방(巳午未 方) = 남방(南方) 해묘미 년(亥卯未 年) : 신유술 방(申酉戌 方) = 서방(西方) 인오술 년(寅午戌 年) : 해자축 방(亥子丑 方) = 북방(北方) 사유축 년(巳酉丑 年) : 인묘진 방(寅卯辰 方) = 동방(東方) | 5) 대장군방(大將軍方)
대장군이 닿는 방위에 집을 달아 내거나 헛간, 화장실, 축사 등을 지으면 안 좋다. 그러나 안방에서 120보(약100m) 이상 되는 거리는 이에 구애받지 않는다.
인묘진(寅卯辰) 3년간 : 감방(坎方, 북쪽) 사오미(巳午未) 3년간 : 진방(震方, 동쪽) 신유술(申酉戌) 3년간 : 이방(離方, 남쪽) 해자축(亥子丑) 3년간 : 태방(兌方, 서쪽) | 6) 상문살방(喪門殺方)
상문살(喪門殺)은 사람이 죽은 방위로부터 악살(惡殺)이 퍼져온다는 방위다.
년 |
子 |
丑 |
寅 |
卯 |
辰 |
巳 |
午 |
未 |
申 |
酉 |
戌 |
亥 |
방위 |
寅 |
卯 |
辰 |
巳 |
午 |
未 |
申 |
酉 |
戌 |
亥 |
子 |
丑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