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자료실

[스크랩] 해당육친에 따른 가족관계

수맥박사 2010. 12. 19. 11:27
반응형

해당육친에 따른 가족관계

 

재 : 처첩 (여명 : 시댁)                   편재 : 아버지

관 : 남편 (남명 : 자녀)

인 : 모친, 할아버지 

비 : 형제

식 : (남명 : 처가) (여명 : 자녀)       상관 : 할머니

 

 

[1] 상극

 

1) 재가 인수를 극하면 :

 ㄱ. 아버지와 어머니가 다툰다. (두 분이 이혼할 수 있다.)

 ㄴ. 처와 어머니가 다툰다. 처가 배신한다. (처가 바람나서 이혼할 수 있다.)

 ㄷ. 부모가 몰락한다. 

 ㄹ. 형제가 아프다. 

 

2) 칠살이 일간을 극하면 :

 ㄱ. 남편과 다툰다. 남편이 사고친다. (남편이 바람나서 이혼할 수 있다.)

 ㄴ. 남명은 자녀가 사고친다. 

 ㄷ. 나의 가정이 몰락한다.

 ㄹ. 여명의 자녀가 아프다.

 

3) 인수가 식상을 극하면 :

 ㄱ. 여명은 난산이다. 아기가 급사한다.

 ㄴ. 여명은 자식 버리고 떠난다. (바람필 수 있다.)

 ㄷ. 남명은 처를 사랑할 마음이 없다. (바람필 수 있다.) 

 ㄹ. 처가가 몰락한다.

 ㅁ. 처가 아프다.  

 

4) 비겁이 재를 극하면 :

 ㄱ. 형제가 아버지와 다툰다.  

 ㄴ. 남명은 처와 다툰다. (이혼할 수 있다.)

 ㄷ. 여명은 남편을 사랑할 마음이 없다. (바람필 수 있다.) 

 ㄹ. 시댁이 몰락한다.

 ㅁ. 남편이 아프다. 남명의 자녀가 아프다.

 

5) 식상이 관을 극하면 :

 ㄱ. 남편과 자녀가 다툰다.  

 ㄴ. 여명은 남편과 다툰다. (이혼할 수 있다.)

 ㄷ. 외가가 몰락한다.

 ㅁ. 어머니가 아프다.

 

[2] 상생

 

1) 재가 관을 생하면 :

 ㄱ. 아버지가 밀어준다.  

 ㄴ. 처가 밀어준다.

 ㄷ. 처가 자녀를 밀어준다. (처와 자녀가 친하다.)

 ㄹ. 시댁이 능력이 있다.

 

2) 관이 인을 생하면 :

 ㄱ. 남편이 밀어준다.

 ㄴ. 남편이 처가를 돕는다.

 ㄷ. 남명의 자녀가 가업을 일으킨다.

 

3) 인이 생아하면 :

 ㄱ. 어머니가 나를 밀어준다. (어머니와 형제가 친하다)

 ㄴ. 어머니가 가정을 돌봐준다.

 ㄷ. 부모가 능력이 있다.

 

4) 비겁이 식상을 생하면 :

 ㄱ. 여명의 형제들이 자녀를 돌봐준다. (형제와 자녀가 친하다.)

 ㄴ. 처가를 돕는다.

 ㄷ. 형제들이 능력자이다.

 

5) 식상이 재를 생하면 :

 ㄱ. 처를 밀어준다.

 ㄴ. 시댁을 돕는다.

 ㄷ. 여명의 자녀가 시댁을 일으킨다.  (자녀와 시댁사람들이 친하다.)

 ㄹ. 처가가 능력이 있다.

 

제복

 

1) 재다를 비겁으로 제복하면 :

 ㄱ. 아버지의 문제를 형제와 함께 극복한다. 아버지와는 정이 없게 될 수 있다.

 ㄴ. 처의 문제를 형제와 함께 극복한다. 처와는 정이 없게 될 수 있다.

 ㄷ. 형제가 능력자이다.

 

2) 관살을 식상으로 제복하면 :

 ㄱ. 남편의 문제를 자식과 함께 극복한다. 남편과는 정이 없게 될 수 있다.

 ㄴ. 남명의 자녀의 문제를 극복한다. 자녀와는 정이 없을 수 있다.

 ㄷ. 할머니가 능력자이다.

 ㄹ. 처가는 능력이 있다.

 

3) 인다를 재로 제복하면 :

 ㄱ. 어머니의 문제를 아버지와 함께 해결한다. 어머니와는 정이 없게 될 수 있다.

 ㄴ. 처와 함께 친가의 문제를 해결한다.

 ㄷ. 처가 능력자이다.

 ㄹ. 시댁은 능력이 있다.

 

4) 비겁을 관으로 제복하면 :

 ㄱ. 형제의 문제를 남편으로 해결한다. 형제와는 정이 없게 될 수 있다.

 ㄴ. 남명의 가정의 문제를 자녀들이 해결한다. 

 ㄷ. 남편과 남명의 자녀는 능력자이다.

 

5) 식상을 인으로 제복하면 :

 ㄱ. 여명은 어머니와 함께 자녀의 문제를 해결한다. 자녀와 정이 없게 될 수 있다.

 ㄴ. 처가의 문제를 어머니와 함께 해결한다.

 ㄷ. 부모가 능력자이다.

출처 : 사주사랑
글쓴이 : 사주사랑 원글보기
메모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