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1. 강신 (降神 조상님을 맞이한다)
- 제주(장자 또는 장손)가 앞에 나아가 향을 피우고 집사자(차례를 돕는 사람)가 술을 따라주면 쌀을 담아둔 그릇에 3번 나누어 붓는다. 제주가 2번 절한다.
- 2. 참신 (參神 조상님께 인사를 드린다)
- 차례에 참석한 모든 가족이 두 번 절을 하는데, 음양의 원리에 따라 남자는 두 번, 여자는 네 번 절하기도 한다.
- 3. 헌작 (獻酌 조상님께 잔을 올린다)
- 각 신위마다 잔을 올려야 하며 제주가 직접 바로 술을 따르거나 집사자가 따라주기도 한다.
- 4. 계반삽시 (啓飯揷匙 조상님의 식사를 돕는다)
- 메(밥)의 뚜껑을 열어 숟가락을 꽂고, 젓가락은 적(구이)이나 편에 올려놓는다. 설날 때에는 떡국에 숟가락을 올려놓고, 추석 때에는 송편에 젓가락을 올려놓는다.
- 5. 합문 (闔門 조상님이 식사하실 시간을 드린다)
- 차례에 참석한 사람들은 밖으로 나가 문을 닫으며, 어쩔 수 없는 경우 모두 무릎을 꿇고 잠시 기다린다.
- 6. 철시복반 (撤匙復飯 음식 뚜껑을 덮는다)
- 숟가락을 거두고 음식의 뚜껑을 닫는다. 추석 때에는 송편에 올려 놓은 젓가락을 내린다.
- 7. 사신 (辭神 모셨던 조상님을 배웅한다)
- 차례에 참석한 사람들은 모두 두 번 절한다. 이때도 남자는 두 번, 여자는 네 번 절을 하기도 한다. 절을 한 후, 차례에 사용했던 지방과 축문을 불사른다.
- 8. 철상 (撤床 차례 음식과 도구를 정리한다) ㅣ 음복 (飮福 조상님께서 남기신 음식을 나눠 먹는다)
- 차례 음식과 차례 도구를 뒤에서부터 거두어 정리한다. 차례에 참석한 사람들이 음복주와 음식을 나누어 먹으며 조상의 덕을 기린다.
반응형
'일반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례상차림 (0) | 2018.09.23 |
---|---|
지방 쓰는 법 (0) | 2018.09.23 |
"차례상 군살 빼자" 어르신들 흔쾌한 추석 반란 (0) | 2018.09.22 |
"상다리 휘어지는 차례상은 유교식 아닙니다" 억울한 성균관 (0) | 2018.09.22 |
'부처님 오신 날'이 나라마다 다른 이유 (0) | 2018.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