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주(四柱)를 분석하여 좋은오행, 길오행(吉五行)을 적용합니다.
태어난 년월일시(年月日時)를 동양철학적(東洋哲學的) 오행의 상생상극
(相生相剋)으로 분석하여 채워주고 보충하고 필요하고 도움이 될 수 있는
오행기운(五行氣運 : 木 火 土 金 水 )을 찾아 적용합니다.
-- 한자(漢字)는 자의(字義)의 자원오행(字源五行)을 적용합니다.
한자(漢字)가 본질적(本質的)으로 고유(固有)하게 가지고 있는 의미(意味), 깃들어 있는 뜻,
한자부수(漢字部首)의 자원오행기운(字源五行 氣運)을 적용합니다.
한자(漢字)는 뜻과 형상(形象)을 나타내는 표의문 자(表意文字), 표상문자(表象文字)입니다.
(작명가(作名家)에 따라서는, 자원오행(字源五行)을 사용하지 않고, 그 대신 획수오행(劃數五行)을
적용하기도 합니다)
-- 한글은 소리의 발음오행(發音五行)을 적용합니다.
한글 자음(子音)으로 기준을 삼아, 소리가 되는 발음(發音)의 오행기운 (五行氣運)을 적용합니다.
한글자음의 발음오행은 초성(初聲) 시작 자음(子音)이 모두 오행생조(五行生助)를 이루며,
종성자음(終聲字音) 끝받침 자음까지도 모두 오행생조로 연결 되도록 적용합니다.
한글은 소리를 나타내는 표음문자(表音文字) 입니다.
(작명가에 따라서는, 발음오행(發音五行)을 시작자음 초성끼리만 적용 하고,
종성자음 끝받침 자음은 적용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 한자의 획수(劃數)는 원형이정(元亨利貞) 수리4격(數理四格)과 81수리(數理)를 적용합니다.
-- 한글의 획수(劃數)는 자음(子音)과 모음(母音)의 획수합(劃數合)이
음양조화(陰陽調和: 홀수짝수 調和)가 되도록 합니다.
-- 불용한자(不用漢字: 뜻이나, 形象이 좋지않은 것)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강, 실, 허, 약(强, 實, 虛, 弱)의 한자는
사주(四柱)의 특성(特性)에 따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성씨(姓氏)를 포함하여 이름 3字의 형태(形態)가 모두 세로로 나누어 갈라지지 않도록 합니다.
-- 위와 같은 작명법의 모든 적용은
성씨(姓氏)에 따라 이름을 미리 미리 지어놓기가 안됩니다.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빠른 이름짓기가 안됩니다.
-- 직접 수작업(手作業)으로 이름을 짓기 때문에 7일 정도의 시간이 필요 합니다.
(사전에 미리 미리 만들어 놓은 기성복 같은 이름이 아니라,
사람에 따라, 四柱에 따라 새로이 만들어야 하는 맞춤 양복과 같은 것입니다)
-- 가족의 항렬자 사용, 좋은 느낌의 글자 사용, 좋은 뜻의 글자 사용,
발음이 부드럽다고 생각하는 글자사용,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글자사용
등을 모두 함께 전부 사용하여 적용하기가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이름작명 성명법이란 무엇보다도 제일 우선 하는 기준이 동양철학적인 음양오행의
적용이기 때문입니다.
-- 작명 성명법에 의한 이름짓기는 사주(四柱)의 형상(形象)에 알맞는 이름짓기 이다 라고
이해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성명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명의 원형이정격 (0) | 2013.05.09 |
---|---|
작명법 (0) | 2013.05.09 |
이름에 쓸 수 있는 한자 (0) | 2012.12.16 |
이름의 대한 의견 (0) | 2012.12.14 |
삼원오행의 길흉해설 (0) | 2012.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