낭월학당 천간지지 게시판 박광윤 글 갈무리임
아래는 백민선생님과 박청화선생님의 이론을 섞어 간략하게 적어드립니다. 그런 후 심태에 따른 운세적인 측면에서 피하여야 할 것과 취하여야 할 것을 고민하시면 되겠네요.
한난(寒暖): 시기, 타이밍, 干의 문제 -시간적 문제 난습(暖濕): 환경, 장소, 支의 문제 -공간적 문제 한습(寒濕): 발현이 늦다. 불평불만, 내적으로 정리가 안 된다. 한조(寒燥): 신경질적이다. 환경에 예민하나 신체 내부적 반응은 느리다. 난조(暖燥): 발현이 빠르나 감정기복이 심하다. 지속력이 떨어진다. 난습(暖濕): 낙천적이다. 환경에 둔감하나 신체 내부적 반응은 빠르다.
오행은 상호연관작용이 있습니다. 목이 지나치면 목을 생조하는 수의 입장과 목이 생함을 하는 화의 입장. 목이 극을 하는 토의 입장, 목을 다스려야하는 금의 입장이 있겠지요. 이를 오행적 관찰이라 합니다.
<목이 없는 경우> 적극성, 창의성, 기획, 설계, 활동성, 새로운 일 추진에 약합니다. 仁壽가 약합니다. 삶에 대한 긍정, 적극성이 약합니다. 목이 없고 금이 왕하면 의협심이 강하고 타협을 거부합니다.
<화가 없는 경우> 화는 변화 촉진, 문명, 예절, 화려함, 활동력. 화가 없으면 음성적, 소극적, 활동성 저하, 우울증, 사회적 성취가 더딥니다. 종양성 질환(화가 없으면 응결 작용 강화) 시력 저하. 화가 없으면 금이 무용지물이고 토도 세력이 약해집니다. 화가 없는 남자는 과묵하고 영양가 있는 삶을 살아갑니다.
<토가 없는 경우> 토는 수렴과 발산의 중재 역할. 토가 없으면 삶의 기복이 심합니다. 부동산의 인연이 약하고 직업도 자주 바꿉니다. 금수 자체를 재물로 볼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토는 금운동의 근거지가 되므로 토가 약하면 재물 축적의 힘이 약합니다.
<금이 없는 경우> 금은 수렴, 의리, 자식, 현금 재산. 금이 없으면 용두사미. 결단력, 혁명성 부족.
<수가 없는 경우> 수는 휴식, 윤택, 학문, 지혜, 자식 생산. 수가 없으면 밤이 없는 형국. 융통성 부족. 여자 사주에서 수가 없고 토가 많으면 자식을 얻기 힘듭니다.
직업에서는 지지의 환경이 가장 중요합니다. 그 다음이 無字입니다. 무자는 오행적으로 본 다음 육친적으로 봅니다. 세 번째가 격용에 의한 해석입니다.
五行적 관찰
木無 土의 문제 : 조절 능력의 문제 - 경색된다. 私的이다. 火의 문제 : 지속력의 문제 - 감정기복이 심하다. 실증이 빠르다. 水의 문제 : 흐름의 문제 - 정체되어 도태된다. 시대의 흐름에 맞지 않는다.
土의 문제: 토박(土薄), 할 일이 많다(官殺). 안정을 취하기 어렵다. 火의 문제: 화식(火息), 할 일이 많다(印星). 火가 강해지지 않는다. 水의 문제: 수핍(水乏), 할 일이 많다(食傷). 결과를 얻기 어렵다.
火無 金의 문제 : 단절 분리의 문제 - 완고해진다. 껍데기는 두껍고 알맹이는 부실하다. 水의 문제 : 준비, 보관의 문제 - 현실적 발현이 어렵다. 변화가 어렵다. 木의 문제 : 관계의 문제 - 분열이 되지 않는다. 가지만 무성할 뿐 결실이 없다.
金의 문제: 금용(金熔), 정리가 잘 되지 않는다. 포장, 분리가 어렵다. 水의 문제: 수비(水沸), 경솔 산만하다. 지속력이 떨어진다. 木의 문제: 목분(木焚), 성급하다. 분열이 지나쳐 결실을 얻지 못한다.
土無 水의 문제 : 흐름의 문제 - 유동적이다. 목적이 불분명하다. 木의 문제 : 자리, 안정의 문제 - 유동적이다, 안정되지 않는다. 火의 문제 : 조절, 인내의 문제 - 수렴되지 않아 생산성이 떨어진다.
水의 문제: 수체(水滯), 흐르지 못한다. 정체된다. 木의 문제: 목절(木折), 감당하기 어렵다. 외롭다. 火의 문제: 화회(火晦), 들어나지 못한다. 왜곡, 굴절.
金無 木의 문제 : 관계의 문제 - 마디가 생기지 않는다. 정리가 부실하다. 水의 문제 : 보관의 문제 - 지속력이 떨어져 바닥이 보인다. 土의 문제 : 중재의 문제 - 우유부단하다.
木의 문제: 목절(木折), 일관성 부족(관성). 자라지 못한다. 왜곡된다. 水의 문제: 수탁(水濁), 일관성 부족(인성). 순일하지 못하다. 土의 문제: 토약(土弱), 일관성 부족(식상). 사적이고 개인적이다. 중도를 잃는다.
水無 火의 문제 : 조성의 문제 - 지나친다. 처음상태를 유지하지 못한다. 金의 문제 : 조절, 정리의 문제 - 활동영역이 없다. 유연하지 못하다. 木의 문제 : 관계의 문제 - 내실이 부족하다. 양분부족으로 마른다.
火의 문제: 화식(火熄), 발현되지 못한다. 폭발성을 갖는다. 金의 문제: 금침(金沈), 현실적이지 못하다. 일관성이 떨어진다. 木의 문제: 부목(浮木(乙), 腐木(甲)), 근본이 다친다. 안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부분은 아주 기초적이면서도 매우 중요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충분히 살핀 후, 용신이던 무엇이던 찾아도 찾아야 하겠지요. 또한 용신은 개인의 승패에 연관되는 경우가 많으며 개인의 추구로 인한 행, 불행과는 거리가 먼 경우도 허다합니다.
... 이러한 맥락에서 필요충분조건이 우선입니다. 억부용신이던 조후용신이던 희용신이던 격국과 상신이던... 그 전에 전체적인 측면에서 구조와 흐름을 살펴야 하는 필요성이 있지요. 그리하여 그로인한 부족한점과 태왕한점을 살피면 문제점을 발견 할 수 있을 것이고, 또 팔자에서 특정 오행이 없으면 그 없는 오행을 채우려는 동작, 행위가 가해집니다.
이러한 점을 잘 살펴야 하겠지요. 저의 경우 십성보단 오행이, 오행보단 음양의 관점이 우선입니다. 용신은 어찌보면 그렇게 크게 중요하지 않을 수 있답니다.
격국과 상신에 따른 희용은 나름대로 존재하고 스임새가 있으며, 억부에 따른 관점에서의 희용기구한도 나름대로의 관점 -> 격국과 그 함의가 다른, 또 조후적인 관점에서도 나름대로의 취할 점이 있게 됩니다. |
'성명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명법 (0) | 2013.05.09 |
---|---|
이름에 쓸 수 있는 한자 (0) | 2012.12.16 |
삼원오행의 길흉해설 (0) | 2012.12.01 |
성명 작명법 (0) | 2012.11.29 |
성명의 원형이정격 (0) | 2012.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