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를 볼 때 태어난 년(年), 월(月), 일(日), 시(時)를 불어보는 것은
천간(天干)과 지지(地支)의 조합인 육십갑자(六十甲子)를
음력(陰曆)달력에서 찾아보기 위함이다.
이 육십갑자가 자연의 축소판이기 때문이다.
천간과 지지는 여러 가지 의미가 있지만
가장 기본적인 몇 가지 핵심적인 원리를 적어보면 다음과 같다.
갑(甲),-[木]
을(乙),-[木]
병(丙),-[火]
정(丁),-[火]
무(戊),-[土]
기(己),-[土]
경(庚),-[金]
신(辛),-[金]
임(壬),-[水]
계(癸),-[水]의 천간(天干)순서는
만물의 탄생, 성장, 흥성, 쇄락의 모든 과정을 의미한다.
** 외울 때 갑목,을목,병화,정화 식으로 외우길 바란다
갑은 ‘갑옷’이며 만물이 껍질을 깨고 나온다는 의미다.
을은 ‘밀치다’라는 뜻으로 만물이 성장한다는 의미다.
병은 ‘빛나다’라는 뜻으로 만물이 무성하다는 의미다.
정은 ‘건장하다’라는 뜻으로 튼튼하고 기운이 세진다는 의미다.
무는 ‘무성하다’라는 뜻으로 만물이 번창하다는 의미다.
기는 ‘일어나다’라는 뜻으로 만물이 일어난다는 의미다.
경은 ‘바꾸다’라는 뜻으로 가을에 수확한 후 봄을 기다린다는 의미다.
신은 ‘새롭다’라는 뜻으로 만물이 새롭게 과일을 낸다는 의미다.
임은 ‘잉태하다’라는 뜻으로 음기가 모여들어
만물이 만들어지는 형상이다.
계는 ‘헤아리다’라는 뜻으로 만물이 싹트는 형상이다.
甲 (陽木) : 큰 나무, 0에서 1로 시작하는 생성, 하늘, 자연을 의미
乙 (陰木) : 젖은 나무, 나무가 물을 만나 독자적으로 살아남
丙 (陽火) : 열기가 솟구치니 파괴, 전쟁, 병, 위험 또는 호걸풍의 사람
丁 (陰火) : 작은 불은 큰 불로 만들어 줄 귀인을 기다림. 꺼지지 않는 영원한 불
戊 (陽土) : 마른 흙, 넓은 땅, 큰 일을 위한 장래의 희망과 목적 의식이 싹트기 시작
己 (陰土) : 젖은 흙, 비옥한 땅, 비옥한 땅을 메꿔 꽃피울 것을 찾아 헤매게 된다.
庚 (陽金) : 딱딱한 바위, 안정성이 없고 파괴될 위험성이 많기에 항상 불안정, 잡욕이 생긴다.
辛 (陰金) : 땅 속의 바위, 고집스럽고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까다로움과 혁명적인 기질
壬 (陽水) : 열을 받아 더운 물, 흐르는 물, 권모술에 능하고 임기웅변에 뛰어나지만 끈기가 없음
癸 (陰水) : 고인 물, 주위를 평화롭게 해줄 수 있으나 무해무득, 안일에 빠지기 쉽다.
열두 동물로 표시되는 地支의 뜻과 人性
子 (쥐)
- 배우자보다 자식 사랑이 깊다.
- 사교적이며 애교가 있고 눈치가 빠르다
- 집안 일에는 서툴지만 바깥 일에 능숙하다.
- 불만이 많고 인색하며 아부, 아첨을 한다.
- 심장이 약하고 식성이 까다롭다.
丑 (소)
- 온순할 땐 한없이 태평스러우나 일단 고집을 부릴 땐 막무가내로 끌고가는 억척스러움이 있다.
- 생선을 좋아하고 마음이 풍족한 편이다.
- 느리고 명예욕이 강하다.
- 부지런함과 서서 일하는 것을 좋아하기 때문에 뼈와 치질, 간장 등이 나빠질 수 있다.
寅 (범)
- 은둔과 고독을 즐기고 세속적인 출세나 안전을 바라지 않고 방랑을 좋아한다.
- 이기주의적이므로 적을 많이 만든다.
- 자기에게 필요한 일만 하면 일이 잘 풀린다.
- 채식을 좋아하며 위장병에 조심하고 건망증이 심하고 탈모증이 있다.
卯 (토끼)
- 자신 만의 안전하고 효과적인 길을 개척함에 빠르지만 겨울이 오기 전까지 한 길로만 다닌다.
- 논리적으로 일을 풀어내지만 때로는 끝장을 보려는 무모하기도 한 학자, 선비 스타일 성격
- 인내가 강하지만 뒤가 약하다.
- 냉증, 알레르기성 체질
- 남자는 기관지, 폐가 약해지고, 여자는 우울증에 빠지기 쉽다.
辰 (용)
- 甲辰年生은 木龍이므로 공상적이고 상상적인 용
- 丙辰年生은 火龍이므로 성급함을 나타낸다.
- 戊辰年生은 土龍, 즉, 지렁이이므로 실속이 없다.
- 庚辰年生은 金龍이므로 인간적인 실용성이 있다.
- 壬辰年生은 水龍이므로 물에 담긴 용이 승천을 고대한다.
- 고상하고 진취적인 행동과 재담, 재치로 주위 사람의 이목을 끌게 된다.
- 정신적인 긴박감이 강해 신경성적 노이로제가 나타날 수 있으며 내장이 약하다.
- 요행스러운 면이 많아 구렁이란 별명을 갖게 되는 경우가 많다.
巳 (뱀)
- 섹시하여 주위의 이목을 끌지만 이별도 잘하고 방황하는 성격이다.
- 숨은 재주가 많고 두뇌가 명석하다.
- 지적인 것을 갖추지 못하면 음란한 것만 개발되어 주위의 눈살 찌푸림도 개의치 않는다.
- 초년엔 상당한 재주를 보이다가 갑자기 성격 변화를 일으켜 공격적인 면을 자주 표현하게 된다.
- 변덕이 심하고 비밀이 많다. 변태적이고 권태가 빠르다.
- 피부병이나 몸에 상처가 많다. 알레르기, 냉증, 치질이 많다.
午 (말)
- 풀을 뜯으며 한가로운 시간을 보내면서도 언제나 생각은 험하고 거치를 대지를 달리고 싶어한다.
- 공상과 환상에 치우치기 쉽고 음식이 까다롭다.
- 자연순리에 가장 잘 순응한다.
- 게으르면 장질환이 생기나 활동을 할 때는 괜찮다.
- 눈물이 많고 신앙적인 겁이 많다.
未 (양)
- 달을 대표하는 神의 상징이며 남을 이끌어주기도 하지만, 자신은 매사 일을 이룰 수 없는 성품
- 자신의 처지를 스스로 정하지 못하여 타인의 지배하게 발전한다.
- 한적함 속에서 실생활을 즐긴다.
- 거만스럽고 자존심이 무척 강하다.
- 꾸준하고 허실이 없으며 청빈을 인내하는 경항이 강하다.
- 음식에 기호품이 있어 까다롭다.
- 간경화와 하반신 마비를 조심해야 한다.
申 (원숭이)
- 지혜와 잔재주를 겸한 天神이 하늘을 배척하는 마음이 생겨 땅으로 쫓겨난 형세
- 단체성과 사교성이 뛰어나나 이기주의적인 일면도 있다.
- 숫자에 밝아 과학, 공학 드으이 계통에 적합하다.
- 방황적인 성격이 많고 신경질적인 성향이 있다.
- 원숭이는 9수를 조심해야 한다.
酉 (닭)
- 필요 이상으로 생각하여 신경과민으로 고생하며 꿈을 잘꾸고 앞 일을 예지하는 초능력이 생기기
시작하면 까닭없이 몸이 아프므로 신경질을 잘부린다.
- 고집이 세고 성급하다.
- 똑똑하고 꼼꼼하나 종교적인 일 이외에는 되는 일이 없다.
- 새벽잠이 앖고 불면증으로 고생한다.
- 편두통이 잦고 성질이 성급하며 괴팍하다.
戌 (개)
- 다소 경한 언동을 사용하여 다툼이 있으나 뒤끝이 없다.
- 개발 개척 정신이 강하다.
- 가정적이면서도 무관심한 태도의 양면성이 있다.
- 일을 추진함엔 기초가 약하다.
- 남성은 궤변에 능통하고 여성은 학술적인 언어학에 일품이다.
亥 (돼지)
- 독립, 독선적이서 단체 생활에 적합하지 못하다.
- 시키는 일은 안하고 독창적인 일을 하는 천재 스타일
- 주위는 더럽더라도 자기 몸은 깨끗이 한다.
- 직업의 귀천을 가리지 않고 골고루 편력하려는 다혈질로서 위기를 잘 타고 넘어간다.
- 열두가지 복과 열두가지 재주가 있어 다재다능하다.
- 돈과 물욕을 앞세우면 과식으로 불치병에 걸리기 쉽고, 명예를 앞세우면 부귀 공명의 길이 열린다
- 당뇨, 고혈압, 심장 마비 등을 조심해야 한다.
인(寅),-[木]-호랑이
묘(卯),-[木]-토끼
진(辰),-[土]-용
사(巳),-[火]-뱀
오(午),-[火]-말
미(未),-[土]-양
신(申),-[金]-원숭이
유(酉),-[金]-닭
술(戌),-[土]-개
해(亥),-[水]-돼
자(子),-[水]-쥐
축(丑),-[土]-소
의 지지(地支)는 사물의 발전과 변화의 과정을 나타낸다.
** 외울 때 자축인묘진사 순으로 외우지 말고 인묘진사오미 순으로
외우길 바란다( 천간과 바로 연결이 된다 )
** 외울 때 인목,묘목,진토,사화 식으로 외우길 바란다.
** 아울러 상징하는 동물도 함께 외우깋 바란다
인은 ‘펼치다’라는 뜻으로 만물이 성장하기 시작한다는 의미다.
묘는 ‘돌진하다’라는 뜻으로 만물이 흙 밖으로 나온다는 의미다.
진은 ‘펴다’라는 뜻으로 만물이 펼치고 진작하는 것을 의미한다.
사는 ‘이미’의 뜻으로 만물이 이미 성장했다는 의미다.
오는 ‘대등하다’라는 뜻으로 만물이 왕성한 시기를 지나
음양이 교차하는 때가 왔음을 의미한다.
미는 ‘맛’과 같고, 만물이 성장하여 맛을 지니고 있음을 의미한다.
신은 ‘몸’과 같고, 만물이 처음 형체가 만들어짐을 의미한다.
유는 ‘열매’와 같고, 만물이 매우 성숙했음을 의미한다.
술은 ‘소멸하다’라는 뜻으로,
만물이 소멸하여 흙으로 돌아감을 의미한다.
해는 ‘씨’와 같고, 만물이 씨가 됨을 의미한다.
자는 ‘움트다’라는 뜻으로 만물이 무성하다는 의미다.
축은 ‘묶다’의 뜻이다.
이러한 천간과 지지의 기본적인 속성 외에 더 구체적인 속뜻을
서로 조합하여 해석하다보면 개개인의 사주마다 독특한 자연의 모습이
그려지게 된다. 그러면 하나의 산수화처럼 각기 다른 성품과 재주가 드
러나는 것이다.
사람은 우주의 축소판이요
우주 또한 사람의 모습을 닮고 있기 때문이다.
'철학사주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地支論 (0) | 2012.11.29 |
---|---|
天干論 (0) | 2012.11.29 |
[스크랩] ** 고사 축원문** (0) | 2012.10.13 |
[스크랩] 삼원오행의 길흉해설 (0) | 2012.09.26 |
天干 地支 合 沖 殺 刑 破 害 (0) | 2012.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