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철 9층 봉침 분금 해설
패철 8층과 대비하면 오자(午字)위에 6개의 구획이 나뉘어저 있다, 왼족빈칸→경자(庚子)→빈칸→빈칸→병오(丙午)→반쪽 빈칸인데, 자연의 흐름이 좌선수라면 五向中에서 左分金인 庚午에 맞추어 시신의 向을 왼쪽으로 선회 시킨다, 우선수라면 五向中에서 右分金인 丙午에 맞추어 시신의 向을 오른쪽으로 선회시킨다,
"단" 육탈이 끝난 유골을 移葬할 때에는 봉침분금에 따라 유골을 선회시키지 않는다, 분금 처리할 경우 양기가 커저 유골의 산화가 강하게 일어나서 오히려 해롭다,
9층 분금(分金) 측정
분금법(分金法)은 장사(葬事)에서 최종적 마무리 작업으로 내광(內壙)에 하관(下棺)하고 그 자손의 부귀왕정(富貴旺丁)을 도모하는 층이다,
나경패철의 9층에는 4층 지반정침의 24좌산(坐山) 위에 각각 5분금씩 모두 120 분금이 등재 되어 있다,
이 5분금중 3분금은 공란이고 2분금만 60갑자가 쓰여 있다, 또 등재되어 있는 글자(60갑자) 천간자(天干字)가 모두 병(丙), 정(丁), 경(庚), 신(辛),으로만 되어 있는데, 이는 왕상분금(旺相分金)인 병, 정, 경, 신,(丙丁庚辛) 천간자로 시자되는 분금만을 표시한 것이고,
고허살요공망분금(孤虛煞曜空亡分金)인 갑, 을, 무, 기, 임, 계, (甲乙戊己壬癸)의 天干자로 시작되는 分金은 아예 기록하지 않고 공란으로 한것이다,
120 분금중 갑을맥(甲乙脈)은 고(孤)하고, 병정맥(丙丁脈)은 왕(旺)하며, 무기맥(戊己脈)은 살요(煞曜)이고 경신맥(庚辛脈)은 상(相)이며, 임자맥(壬子脈)은 허(虛)하다,
따라서 4층 지반정침으로 좌(坐)를 정하고 그 坐에서 9층에 있는 2개의 分金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때 두개의 分金중 납음오행(納音五行)을 보아 이 五行이 망명(亡命)죽은사람의 생년(生年)
납음오행(納音五行)을 생(生)하여 주거나, 비화(比和)하거나, 망명(亡命)의 납음오행이 분금의 납음오행(納音五行)을 극(剋)하면 길(吉)하니 그 두개의 분금중 하나를 골라 사용한다,
만약 2개의 분금중 어느것도 명의 납음오행을 생(生)하거나 비화(比和)하거나 극(剋)을 하지 않아 사용할 수 가 없으면 망명의 납음오행(納音五行) 대신 사손(嗣孫長孫) 또는 다른 자손의 생년(生年) 납음오행을 맞춘다,
생아자(生我者) 즉 분금의 납음오행이 이 망명의 납음오행(納音五行)을 생하여주면 인수생조(印綬生助)이고, 비화자(比和者) 즉 분금의 납음오행(山命이라고도함)이 망명의 오행과 같으면 비화형제(比和兄弟)이며
아극자(我剋者) 즉 망명이 산명(山命, 분금납음오행)을 극(剋)하면 처재(妻財)로 길(길)하다,
아극자(我剋者) 즉 산명(山命)이 망명(亡命)을 극(剋)하면 관극살요(官剋煞曜)이며, 생아자(生我者) 즉 망명이 산명(山命)을 생(生)하면 상식설기(傷食洩氣)하며 흉(凶)하다,
120 분금 배치로(나경패철 9층에는 天干字가 丙丁, 庚辛의 왕정맥만 기재 되어 있다,)
< 보기 예 >:4층의 子와 癸에는 9층에 병자(丙子)와 경자(庚子)만 기재 되어 있다,)
납음오행(納音五行)
납음오행을 쉽게 찿는법,
천간(天干) : 갑을(甲乙)-(), 병정(丙丁)-(), 무기(戊己)-(), 경신(庚辛)-(), 임계(壬癸)-()
지지(地支) : 자축오미(子丑午未)-(), 임묘신유(寅卯申酉)-(), 진사술해(辰巳戌亥)-()
천간(天干)과 지지(地支)를 合한 수가 1 이면 목(木), 2 이면 금(金), 3 이면 수(水), 4 이면 화(火), 5 이면 토(土), 합한수가 5를 넘으면 5를 뺀 나머지 숫자이다,
< 예 > : 갑자(甲子)의 납음오행(納音五行)은 天干 甲은 1 이고 地支 子 또한 1 이므로 합하면 2 이다, 2 는 金에 해당한다,
납음오행 표에서 갑자(甲子)는 해중금(海中金)으로 똑 같다, 사용에 대한 예를 들어보자
< 예 >: 임좌병향(壬坐丙向)의 혈에 1929년 기사생(己巳生)인 사람이 사망하여 葬事를 지내려 한다, 이때는 分金을 어떻게 놓아야 할까?
< 답 >:8~4층 지반정침 임좌(壬坐)에 있는 9층의 分金은 정해(丁亥)와 신해(辛해)다
기사년(己巳年) 생인 망명의 납음오행은 대림목(大林木)이고 정해(丁亥)는 옥상토(屋上土), 신해(辛亥)는 차천금(차釧金)이다,
망명의 납음오행(納音五行)을 생(生)하여 주거나 서로 같은 오행인 비견(比肩)이거나 망명이 산명(山命, 분금의 납음오행)을 극(剋)하는 것을 찿아야 하므로
정해(丁亥) 분금은 목극토(木剋土)하여 산운이 망명을 剋하므로 흏(凶)하다, 따라서 임좌병향(壬坐丙向)으로 천광한 내광(內壙) 안에서 시신의 머리쪽은 9층 정해(丁亥)로 하고
아래쪽은 정해와 대칭인 정사(丁巳) 로 일직선 되게 맞추면 된다,
- 글쓴이:보금 풍수 수맥 철학원 -
'논리 풍수학 음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태법 (0) | 2011.08.12 |
---|---|
[스크랩] 정음정양 / 십이포태 / 음양오행 / 하도 낙서 (0) | 2011.08.12 |
[스크랩] 생왕룡(生旺龍)과 사절룡(死絶龍)의 분류(分類) (0) | 2011.07.31 |
[스크랩] 용(龍)의 분류(分類) (0) | 2011.07.31 |
[스크랩] 용(龍)의 구성(九星)과 오행(五行) (0) | 2011.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