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 |||
사격의 방위 측정은 나경패철의 6층 인반중침(人盤中針)으로 하고, 그 길흉화복은 산의 외적인 형상과 방위를 가지고 판단한다. 예를 들어 수려 단정한 사격이 흉한 방위에 있으면 이법적인 길함은 없어도 흉도 없다. 반면에 수려하고 단정한 사격이 길한 방위에 있다면 크게 길하다. 또 험하게 파쇄된 흉칙한 사격이 아무리 길한 방위에 있다 치더라도 흉을 가져오고, 흉한 사격이 흉한 방위에 있다면 그 흉함은 더욱 크게 작용한다. | |||
팔산법(八山法) | 삼길육수사(三吉六秀砂) | 귀인사(貴人砂) | 녹위사(祿位砂) |
역마사(驛馬砂) | 겁살방(劫煞方) | 삼각치(三角峙) | 삼양기(三陽起) |
팔국주(八國周) | 사세고(四勢高) | 규산(窺山) | 여산구(女山俱) |
수성숭(壽星崇), 수산경(壽山傾) | 태양승전(太陽昇殿) | 태음입묘(太陰入廟) | 옥대현(玉帶現) |
대사문(大赦文), 소사문(小赦文) | 팔요황천풍(八曜黃泉風, 황천풍이라고 함) | 청룡(靑龍), 백호(白虎), 안산(案山)의 길흉화복 | 자궁완(子宮完), 자궁허(子宮虛)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예 1> 혈지에서 주변에 있는 산을 나경패철 6층 인반중침으로 측정하니 동쪽인 갑묘을(甲卯乙) 진방(震方)에 수려하고 풍만한 산이 있다면 자손이 번창하여 부귀를 다하는 좋은 산이다. 특히 진(震)방은 장남을 관장하는 방위이므로 장남과 장손이 잘된다. < 예 2> 혈지에서 나경패철을 정반정침하고 6층으로 주변 산(사격)을 측정하니 북쪽인 임자계(壬子癸) 감방(坎方)에 깨지고 부서진 흉칙한 바위투성이로 된 산이 있다면 부귀도 못할 뿐만 아니라 자손들도 잘 되지 않는데 그 중에서도 중남인 가운데 자손이 큰 피해를 본다. < 예 3> 혈지에서 나경패철 6층으로 주변 산을 측정하니 동남쪽인 진손사(辰巽巳) 손방(巽方)에 귀한 산이 있다면 장녀인 큰딸이 매우 똑똑하고 아름다워 귀하게 될 것이다. < 예 4> 혈지에 나경패철 6층으로 주변 산을 측정하니 남쪽인 병오정(丙午丁) 이방(離方)에 산이 높고 험하며 햇빛을 차광하고 있다면 부귀는 없을 뿐만 아니라 특히 중녀인 가운데 딸이 피해를 많이 보며 자손 중에 눈에 병이 있거나 맹인이 나온다. < 예 5> 혈지에서 나경패철 6층으로 주변 산을 측정하니 서북쪽인 술건해(戌乾亥) 건방(乾方)에 있는 산이 깨끗하고 풍만하여 길격형상을 하고 있다면 건방은 할아버지와 아버지를 관장하는 방위이므로 부귀는 물론이고 무병 장수한다. < 예 6> 혈지에서 나경패철 6층으로 주변 산을 측정하니 남서쪽인 미곤신(未坤申) 곤방에 흉한 산이 있다면 재산과 자손의 발전도 없고 특히 곤방(곤방)은 할머니와 어머니 또는 아내를 관장하는 방위이므로 여인들의 실덕으로 집안을 망친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