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리 풍수학 양택

[스크랩] 제3장 양택삼요

수맥박사 2011. 7. 31. 01:31
반응형

 

 

제3장 양택삼요(陽宅三要)
   
  대문(門), 안방(主, 높고 큰 방), 부엌(조)를 양택삼요라 한다. 먼저 대문을 살피고, 그다음 안방과 부엌을 본다.
(1) 대문과 안방의 상생상극관계를 살핀다.
(2) 대문과 부엌의 상생상극관계를 살핀다.
(3) 안방과 부엌의 상생상극관계를 살핀다.
(4) 본명궁(동사명인,서사명인)과 삼요의 상생,합이 되는지를 살핀다.

삼길택(三吉宅) : 대문, 안방, 부엌이 서로 상생,비화(오행이 같음)되는 관계의 주택으로 가장 길한 주택이다. 대문이 안방을 상생비화하고 안방이 부엌을 상생비화하며 부엌은 대문을 상생비화한다.

 

 

제4장 동서사택(東西四宅)
   
  乾(서북), 坤(서남), 艮(동북), 兌(서방)는 서사택(西四宅) 방위이다. - 반드시 암기
坎(북), 離(남), 震(동), 巽(동남)는 동사택(東四宅) 방위이다. - 반드시 암기

 

동서사택의 혼잡(混雜)


양택삼요(대문,안방,부엌)가 같은 사택에 해당하고 상생된다면 가장 길하다.
그러나 셋중 하나가 다른 사택과 혼잡되면 흉하다.
예컨대 대문이 동사택방향이면 안방과 부엌도 동사택이어야 하고,
대문이 서사택방향이면 안방과 부엌도 서사택이어야 한다.

乾坤艮兌四宅同 東四卦爻不可逢 ?將他卦裝一屋 人口傷亡禍必重
건곤간태 네 집은 같으니 동사괘효를 만나면 안된다. 그릇 다른 괘를 만나 집을 꾸미면
사람이 상하거나 죽고 화가 거듭된다.
坎離震巽是一家 西四宅中莫犯他 若逢一氣修成像 子孫興旺定榮華
감리진손은 한집이니 서사택 괘효를 범하면 안된다.
만약 순수하게 동사택으로만 이루어지면 자손이 왕성하고 영화를 누린다.

 

 

제1장 양택 보는 법
          (1) 양택의 판단순서
  1. 집터(혈.穴)가 좋은가를 판단한다.
2. 건물의 방위(坐向)가 용혈사수(龍穴砂水)에 맞는지 판단한다.
( 특히 산에 가까운 집은 용혈사수를 잘 판단해야 하고 도심지의 집은 양택삼요를 중심으로 본다.)
3. 집주인과 집이 맞는지(동사명인-동사택,서사명인-서사택)를 판단한다.
4. 건물내부(三要)의 구조배치가 잘 되었는지 판단한다.
   
           (2) 정택(靜宅) 보는 법
  정택(靜宅)이란 일반적인 보통의 집이다. 동택(動宅)은 집이 여러겹으로 되어있는 경우를 말한다. 여섯겹이상은 변택(變宅)이라 한다. 11겹이상은 화택(化宅).

1. 먼저 줄자를 준비하여 안마당을 대각선으로 그어 정중앙에 십자표시를 한다.
마당이 없는 집은 거실을 포함하여 트인 공간을 기준으로 하면 된다. 즉, 거실을 포함한 트인 공간을
대각선으로 그어서 교차하는 점을 표시한다.

2. 십자표시에 라경(패철,나침반)을 놓고 8방위(또는 24방위)를 정확히 판단한다.
대문, 안방(제일 큰 방), 부엌의 방위를 정확히 판단한다.

 

3. 방위를 정할 때 주의할 점

 

(1) 만약 공동주택에 산다면 첫째로 길과 접한 대문의 방향이 본인의 본명으로 볼때 맞아야 하며, 그 다음으로 복도에서 집으로 들어오는 현관문의 방향과 안방, 부엌의 방향을 따져야 한다. 현관문도 본명에 맞아야 한다.
( 본명과 맞는다는 것은 서사명인이면 대문 및 출입문이 서사택방향이어야 하고, 동사명인이면 동사택방향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
(2) 만약 큰 방이 양택상 좋지 않고 작은방이 양택상 좋다면 차선책으로 작은방 을 안방으로 쓰고 이 방에서 자야 한다.
(3) 부엌의 방위를 정확히 정하려면 불이 피는 곳 - 가스레인지가 놓인 곳을 기준으로 방위를 정한다.

   

 

제2장 피해야 할 집터
   
 

집터는 산골이나 산에 가까운 집터와 도심지의 집터로 나눌 수 있다. 산에 가까운 집터는 산의 용혈사수(음택의 원리와 같음)를 잘 보고 집터를 잡아야 하며, 도심지의 집터는 양택원리에 충실하면 된다.

다음과 같은 집터는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다.
1. 집앞으로 물이 빠져나가면 흉하다.
2. 물이 집터를 등져도 꺼린다.
3. 신당의 앞이나 절의 뒤는 나쁘다.
4. 버려진 땅은 피하는 것이 마땅하다.
5. 감옥터나 전쟁터도 혐오하니 남은 재앙이 반드시 나타난다.
6. 묘지를 파내거나 깍아낸 자리도 불가하다.
7. 도로가 문을 충하는 것은 시비가 끊이지 않는다.
8. 개울물이 집을 가까이 감아돌거나 집뒤를 쏘면 집안이 패망한다.
9. 집주위가 습하여 물이 질척거리면 흉하다.
10. 햇빛을 받지 못하고 항시 어두운 곳은 나쁘다.
11. 연못이나 굴등 뱀,용의 서식지에 가까운 곳은 꺼린다.
12. 모난 집터는 재수가 없다.
13. 뒤가 낮은 집터는 불가하다.
14. 집앞에 높은 빌딩이나 높은 산이 있으면 재산이 모이지 않는다.
15. 주변에 비해 낮은 집터는 질병에 시달린다.
16. 골목의 막다른 집은 자손이 성공하지 못한다.
17. 다른 건물이나 암석이 집을 쏘면 남자가 단명하거나 우환이 있다.
18. 도로나 물이 활등처럼 등을 지고 흐르는 집은 흉하다.

   
   
   
   

 글쓴이 명리보감 역학연구소
 如幻 宋眞龍

 

 

 

 

 

 

 

 

 

출처 : 쉬었다 가는 곳
글쓴이 : 道 入 禪 원글보기
메모 :
반응형